SK이노베이션, 단일 투자로 최대 규모 5조 원 투입

SK이노베이션이 미국 완성차 기업 포드(Ford)와 합작법인 ‘블루오벌SK(BlueOval SK)’를 통해 미국 내 배터리 공장 설립에 나선다.
지난 9월 27일 SK이노베이션은 이사회를 열고 블루오벌SK가 미국 내 배터리 공장 건설을 위해 약 5조 1,000억 원의 신규 투자 안을 의결했다.
포드의 자동차에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가 탑재되게 되면서 기존 투자 규모도 3조 원에서 더 늘어나 SK이노베이션의 단일 투자 규모로도 최대 규모를 달성했다.
블루오벌SK는 생산 공장이 설립될 테네시주와 켄터키 주에서 생산부지를 발표하는 행사를 가지고 포드의 빌 포드 회장, 짐 팔리 사장, 테네시 빌 리 주지사, 켄터키 앤디 베셔 주지사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2개 지역에서 배터리 공장과 전기차(EV) 조립공장 건설을 위해 투입될 금액은 총 114억 달러(원화 약 13조 1,020억 원)으로 포드 역사상 가장 큰 금액이며 현재까지 미국 내 배터리 공장 규모 중에서도 가장 큰 액수다.
SK이노베이션은 블루오벌SK에 대한 자사 지분 50%에 해당하는 44억 5000만 달러를 블루오벌SK의 배터리 생산공장 건설에 투자한다.
블루오벌SK 공장은 미국 역대 최대 규모로 건설될 예정으로 테네시 공장은 470만평 부지에 포드의 전기차 생산공장과 함께 들어서며 생산능력은 43기가와트시(GWh), 켄터키 공장은 190만평 부지에 86기가와트시(43GWh 2기)로 건설된다.
블루오벌SK의 총 생산능력은 129GWh에 달할 전망이다.
60㎾ 배터리를 탑재한 EV를 매년 215만대 생산할 수 있는 규모로 양사가 기존에 밝힌 60GWh 규모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이번 공장 설립으로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의 국내 배터리 3사 중 후발주자로 불리는 SK이노베이션은 이번 투자로 조지아 주에서 건설 중인 공장 2개소를 포함해 미국 내에서만 약 150GWh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앞서 SK이노베이션은 2025년까지 CATL,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에 이어 세계 3위를 목표로 하며, 중장기적으로 업계 1위를 탈환하겠다고 목표를 밝혔다.
최근 폭발적으로 증가한 EV용 배터리 수요에 대응해 미국, 중국, 유럽 등 3대 시장에 생산거점을 구축하고 수요에 적극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포드 빌 포드 회장은 “지금은 EV로의 전환을 이끌고 넷제로(탄소중립)라는 새로운 시대를 여는 변화의 순간”이라며 “포드는 혁신과 투자로 미국인이 환호하는 EV를 만들면서도 지구를 보호하고 나아가 국가 번영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 배터리사업 지동섭 대표는 “과감한 친환경 EV 전환을 통해 자동차 산업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열어가는 포드와 협력하게 돼 자랑스럽다”라며 “SK이노베이션은 블루오벌SK를 통해 함께 도약하고 깨끗한 지구를 만들기 위한 공동의 비전을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