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웨이보
사진=웨이보

[부동산투자신탁(REITs),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건설 튼튼한 조력자로 부상]

최근 중국정부가 출범한 <새 시대 신재생에너지 고품질 발전 시행안>과 <’14번째 5개년’ 현대화 에너지 체계 계획>은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인프라 시설 부동산투자신탁(REITs) 포트폴리오에 편입 방안 모색’, ‘수력발전,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펌핑 스토리지 발전소 관련 인프라 시설 부동산투자신탁(REITs) 시범사업 추진’ 등을 제안했다. 

중국정부가 저탄소 에너지 구조 전환 추진에서 REITs의 긍정적 역할을 높이 평가하고 국가적 차원의 정책적 지원을 제공할 전망이다.

[보험상장사 자사주 환매 등 적극적인 행보… 2분기 주가 회복 기대]

금융 테마주들이 6월 14일 일제히 반등헀으며 6월 15일에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6월 15일, 오전 장 마감 기준, 보험종목지수는 7.9% 상승, 그중 차이나라이프(中国人寿, 601628)는 상한가를 기록, 신화보험(新华保险, 601336)은 8.5% 상승, 중국태평양보험(中国太保, 601601)은 7.6% 상승, PICC(中国人保, 601319)는 6.1% 상승, 중국핑안보험(中国平安保险, 601318)은 5.4% 상승하면서 보험 분야 ‘불 마켓’ 분위기가 점점 짙어지고 있다.

한 증권분석가는 저평가된 금융 분야 종목들이 일부 높은 배당률, 안정적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주목받고 있다고 주가 상승요인을 분석했다.

한편 올해 들어 중국태평양보험, 중국핑안보험, AIA생명보험(01299.HK)을 비롯한 보험 상장사들이 줄줄이 자사주 환매 + 주주 자사주 보유량 확대 등 조치를 선 보이면서 주가 하락을 저지하고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를 전하고 있다.

[中 석탄 생산량 확대 및 탄전 스마트화 추진…  채탄장비 및 스마트 제어 관련 종목 주목]

글로벌 석탄시장 수요 증가, 중국의 석탄 공급 보장 목적으로 석탄 생산량 확대 추진 등으로 인해 중국 채탄장비시장은 호황을 맞고 있다. 한편 최근 중국이 탄전 스마트화를 추진하면서 시장 진입 문턱이 높아지고 경쟁력 있는 기술을 보유한 채탄장비제조 선두업체가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전에 민성증권(民生证券)은 ‘현재 중국의 탄전 스마트화 보급률이 10~15%에 불과, 채탄장비시장은 비교적 큰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분석보고를 내놓은 바 있다. 

[창안자동차(长安汽车), 주가 승승장구]

6월 14일, 창안자동차(000625)는 상한가로 마감, 종가는 주당 18.69위안(약 3584원)을 기록, 연중 저점 대비 100% 상승, 5월 주가 누적 상승률은 78%를 기록했다. 

최근 창안자동차가 발표한 5월 생산•판매보고에 따르면 5월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8.09% 하락한 151102대를 기록했으며 1-5월 누적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0.65% 하락한 918334대를 기록, 그중 자체 브랜드 신재생에너지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40.92% 상승한 66690대를 기록했다.

[잉커의료(英科医疗), 자사주 환매 추진]

6월 15일, 잉커의료(300677)는 자기자본을 동원해 집중호가방식으로 매입 목표가격은 최고로 주당 34.38위안(약 6593원), 최소 2.5억 위안(약 479억 원) 최대 5억 위안(약 959억 원) 상당의 자사주를 매입할 계획이며 매입한 자사주는 스톡옵션계획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2020년 코로나 사태 초기, 잉커의료는 주력제품인 의료용 수갑 수요 급증으로 호실적을 거뒀지만 코로나 사태가 진정되면서 2022년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6.03% 하락한 22.88억 위안(약 4388억 원), 순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97.77% 하락한 8349.31위안(약 160억 원)을 기록하며 저조한 실적을 보였다. 

[칸타 브랜드, 글로벌 브랜드 가치 순위 발표… 중국 브랜드 입지 요지부동]

6월 15일, 세계 최대 브랜드 자산평가 플랫폼인 칸타 브랜드(Kantar BrandZ)는 2022년 글로벌 브랜드 가치 순위를 발표했다.

중국 브랜드인 텐센트가 5위, 알리바바가 9위를 기록하면서 글로벌 10위권에 안착했다. 더우인/TikTok은 53위, 하이얼은 63위를 기록했으며 콰이서우(快手)가 82위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100위권에 진입했다. 

(환율 1위안=192원 적용)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