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9월 백악관 집무실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회담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보와 인도적 지원을 약속했다./사진=뉴시스 제공.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9월 백악관 집무실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회담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보와 인도적 지원을 약속했다./사진=뉴시스 제공.

우크라이나에서는 1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어의 국어 역할 확보에 관한 법률'의 일련의 조항이 발효됐다고 러시아 일간 르네상스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탈러시아화'라는 취지의 이 법은 2019년 4월 우크라이나 대통령 폴로셴코 집권 말기에 통과돼 후임자인 젤렌스키의 강력한 추진을 이끌어냈다고 알려졌다. 

보도에 따르면 앞서 우크라이나는 이미 1년 전 서비스업과 교육, 기타 일부 생활 분야에서 우크라이나어로 전환되기 시작했으며, 이제 초점은 신문·출판업에 돌렸다고 전했다.

새로 발요된 법에 따르면 비(非)원주민 언어로 된 모든 국내 인쇄와 영어나 유럽연합(EU)이 아닌 국가의 언어를 사용하는 모든 인쇄매체는 동시에 우크라이나어로 동일한 수량을 발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법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주로 러시아어로 된 출판물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도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217개의 신문과 107개의 잡지와 같은 대부분의 출판물이 온라인 미디어로 전환하거나 지역 미디어로 다시 등록하거나 폐쇄될 것이라고 전했다. 2024년까지 "우크라이나화"는 지역 미디어를 포함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도에 따르면 간행물을 2개 국어를 동시에 인쇄하면 재정적 부담이 가중되고 판매 보장도 없다고 지적했다. 많은 출판사들이 실존 위기에 직면하게 될 것이며 러시아어 버전은 우크라이나 남쪽의 오데사(Odessa)와 같은 지역으로, 우크라이나어 버전은 서쪽의 리비우(Lviv)와 같은 지역으로 보내는 간단한 유통 전략이 제안되었지만 그마저도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시장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