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 관점에서 본 한국의 사모펀드 시장’

한국의 경영참여형 사모펀드(PEF)가 코로나19 팬데믹에도 사상 최대 규모의 펀드 결성에 성공했다.
그롤벌 투자 리서치기관인 프레킨(Preqin)이 발표한 ‘아시아태평양 관점에서 본 한국의 사모펀드시장’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경영참여형 사모펀드 운용사 및 벤처캐피탈의 총 운용자산이 연평균 성장률 37%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41%를 보이며 1위를 기록했고 한국이 37%로 그 뒤를 따르고 있다.
또한 한국의 PE와 VC의 운용 규모(AUM)는 약 150조 원으로 집계된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사모펀드 결성 규모가 근래 5년 중 최저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 사모펀드와 벤처캐피탈이 이뤄낸 성과는 고무적이다.
2020년 국내 사모펀드가 결성한 펀드 총액은 사상 최대 수준인 약 26조 원이다.
한국 사모펀드 시장의 성장 배경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자금 지원’과 ‘운용사들의 역량’이 꼽혔다.
MBK파트너스, 한앤컴퍼니, IMM프라이빗에쿼티, 스틱인베스트먼트, 스카이레이크 등 국내 1세대 대형 펀드들이 지난 10년간 성과를 내면서 펀드 모집액이 사상 최대 수준을 넘어설 수 있었던 점이 주된 이유다.
2조 원 이상의 메가 펀드를 보유한 운용사는 MBK파트너스와 한앤컴퍼니 뿐이었으나 IMM프라이빗에쿼티와 스틱인베스트먼트도 2조 원 대의 신규 펀드를 결성할 계획이다.
최규현 기자 kh.choi@nvp.co.kr
관련기사
최규현 기자
kh.choi@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