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도에 따라 1500개 차종 제작 가능한 섀시 개발
2030년 목표로 하이브리드 트럭 포함해 연간 1만 대 생산

상업용 트럭과 디젤 엔진을 생산하는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이스즈 모터스(Isuzu Motors)가 내년부터 순수 전기 트럭 양산을 시작하면서 중국 업체와 경쟁을 벌인다.
12일 일본 경제매체 닛케이 신문에 따르면 이스즈는 물류업체 등 용도에 따라 1500개 차종을 제작할 수 있는 섀시를 개발했다. 이스즈는 이를 통해 앞으로 주력 디젤 트럭과 동등한 가격으로 중국과 유럽 업체가 장악한 순수 전기 트럭 시장에서 재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중국 업체들이 일본에서 주택가 수송용 1t급 전기트럭 보급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이스즈는 이보다 더 큰 2~3t급 모델을 생산할 예정이다. 또한 물류 외에도 이사 등 용도로 사용할 계획이며 이에 따른 양산 체제도 구축할 방침이다.
이스즈는 순수 전기 트럭을 주력 생산 기지인 후지사와(藤泽) 공장에서 제작한다. 이스즈는 2022년부터 시작하는 양산 규모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지속해서 생산량을 늘릴 계획이며 2030년을 목표로 하이브리드 트럭을 포함해 연간 1만 대를 생산한다.
이스즈는 순수 전기 트럭 보급을 목표로 16년 만에 디젤차 기본 설계를 수정해 새로운 섀시를 개발했다. 디젤차와 부품 범용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같은 생산 라인을 사용해 비용을 줄일 계획이다.
현재 일본에서 2~3t급 트럭 가격은 400만~500만 엔(약 5165만 원)이며 순수 전기 트럭의 경우 보조금을 제외한 가격은 디젤 트럭의 약 2배다. 이스즈 목표는 유지 보수 비용을 포함한 사용자 부담을 단계적으로 디젤 차량과 같은 수준으로 줄이는 것이다.
이스즈는 고객 요구에 따라 운전석 크기를 변경하거나 냉동 장치를 설치하는 등 사용 편의성 방면에서도 앞선 중국 업체 순수 전기 트럭과 경쟁할 예정이다.
일본 환경성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배출량 중 수송 분야 비중은 약 20%로 이중 40%가 화물 운송 과정에서 발생한다.
최근 일본에서 탈탄소를 목표로 한 움직임은 화물 소유 기업으로도 확대하고 있다. 이에 상용 순수 전기차와 연료 전지 자동차 시장 규모가 커질 전망이다.
조성영 기자 chosy@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