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비전e 김호성 기자] VR산업은 현재 급속도로 성장하고 변화하는 시장으로 PC 기반 VR에서 모바일 기반 VR로 넘어가면서 다른 기반의 VR이 서로 비교되고 있다. 

▲ 주도권은 누구에게...PC 기반 VS 모바일 기반

PC VR 제품과 서비스들이 모바일 VR에 비해서 성능과 품질면에서 월등히 앞서고 있다.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부분은 모바일 VR의 하드웨어적인 한계 때문에 콘텐츠의 품질을 보장하지 못하여 성공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PC VR에서 조차도 고품질의 VR 콘텐츠를 체험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비용이 수반된다. 페이스북이 인수한 오큘러스 리프트(Rift), HTC 바이브(Vive) 등은 고성능의 PC가 필요하다. 2~3백만원 수준의 PC에서 겨우 현실감있는 가상현실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스마트폰으로 VR을 본다는 것이 얼마나 낮은 품질의 콘텐츠가 될지는 충분히 상상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초기 VR 시장은 PC 기반의 고품질 VR 헤드셋이 주도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바이브(Vive), 오큘러스(Oculus), PS-VR <사진/ ISSUE&TREND>

이 부분이 소니 PS-VR과 경쟁에서 오큘러스 리프트와 HTC 바이브의 약점이다. 

소니 PSVR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콘솔만 있으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가 아직은 홀로렌즈(Hololens)를 중심으로 AR 시장에 집중하고 있지만, 언제든 VR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반인 엑스박스(Xbox)라는 콘솔 고객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장착하는 방식외에도 독립적인 디바이스 형태의 모바일 VR 제품들이 준비중이다. 

스마트폰 장착형의 경우 헤드셋에 스마트폰을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장시간 사용시 배터리 소진이 많아서 오히려 스마트폰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장애가 된다.

인텔, 퀄컴, 알카텔 등에서는 “독립형 VR 디바이스” 출시가 예정되어 있다. 

이 제품들은 스마트폰 연결없이 모바일 환경에서 VR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향후 모바일 기반 제품들은 테블릿 PC와 같이 세컨드 디바이스로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에서 모바일 VR 시장이 독립형으로 진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PC VR과 모바일 VR 중 어느 방향으로 VR 산업이 성장하게 될 것인가를 물어본다면, 결국 대세는 모바일 VR이 될 것이다. 고사양 게임때문에 PC방이 성장했듯이, 고사양 VR 때문에 VR방이 성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PC기반 VR 시장은 성장을 멈추게 되고, 그 몇배의 규모로 모바일 VR 시장이 성장하게 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