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비전e 이보영 기자] 최근 여행수요 증가와 저비용항공사 영업 확대로 항공여객 시장의 성장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관련 소비자 피해도 매년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14일 한국소비자원이 항공여객서비스 관련 피해구제 접수 추이를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간(2007년~2016년) 총 4,477건이 접수되었고 특히 지난해에는 10년 전보다 약 22배, 전년 대비 40.2% 증가한 1,262건이 접수됐다고 밝혔다.
지난 해 접수된 피해구제 신청 총 1,262건 중 항공사명 확인이 가능한 1,119건을 분석한 결과, 국적별로는 국적항공사가 621건(55.5%)으로 외국적항공사 498건(44.5%) 보다 많았고, 서비스유형별로는 저비용항공사가 637건(56.9%)으로 대형항공사 482건 (43.1%)보다 많았다. 이 가운데 국적 저비용항공사가 413건(36.9%)으로 최다 비중을 차지했다.
피해유형별로는 항공권 구매 취소 시 과다한 수수료를 부과하거나 환불을 지연하는 등 ‘환불’ 관련이 602건(53.8%)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운송 불이행·지연’ 267건(23.8%), ‘위탁수하물 분실·파손’ 92건(8.2%), ‘정보제공 미흡에 따른 미탑승’ 31건(2.8%) 등이었다.
항공권 구매 취소에 따른 ‘환불’ 분쟁과 관련해서는 저비용항공사(396건, 65.8%)가 대형항공사(206건, 34.2%)보다 많았다. 특히, 외국적 저비용항공사의 경우 전체 접수 건 중 ‘환불’ 관련이 75.5%를 차지했다. 이는 저비용항공사 항공권은 할인율이 높은 대신 취소 위약금이 높게 책정되거나 환불이 불가한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항공권 구매 시 약관과 예약내용을 꼼꼼히 확인하고, 출발일 전 스케줄 변동 여부를 수시로 확인한 후 최소 출발 2~3시간 전 공항에 도착할 것과 최종 목적지에서 위탁수하물이 도착하지 않거나 분실·파손된 경우 즉시 공항 내 항공사 직원에게 알려야 한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 액체 들어 있는 스마트폰케이스, 누액으로 인한 화상 주의...주의·경고 문구 표기 없어
- 금융소비자 5명중 1명, 개인정보유출 경험 있어
- 유효기간 지난 모바일 상품권, 90% 환불 가능...소비자 불만 상담 증가
- 행복드림 열린소비자포털 1단계 서비스 시작...리콜 정보· 피해 구제 신청이 원스톱으로
- 피자전문점 소비자 만족도...맛·메뉴는 파파존스, 가격은 피자에땅
- 삼성전자, 중국 전자상회 주관 'QLED 국제 포럼' 참가...중국 TV제조사 ·유통· 학계 협력해 시장 확대
- “100% 환급”, “수강료 0원” 인터넷 강의...수강 중도포기 후 위약금 분쟁으로 이어져
- SNS 쇼핑몰, 소비자 청약철회 요구 거부 빈번...사전고지, 해외배송등의 이유 들어
- 카드 해지시, '1만원 이상 포인트' 현금으로 환급 가능해 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