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들과 개발한 ‘인빌딩 5G 중계기’… 분당 5G 시험망에 적용

[뉴스비전e 김호성 기자] SK텔레콤이 실제 통신 환경에서 적용한 5G 핵심 기술들을 잇따라 시연하며, 5G 조기 상용화를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이 국내 통신 장비업체들과 함께 개발한 28GHz 및 3.5GHz 대역 ‘인빌딩(In-building) 5G 중계기’를 자사 분당사옥 ‘5G 시험망’에 적용했다고 31일 밝혔다.
‘인빌딩 5G 중계기’는 실내에서도 원활한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서비스 음영 지역에 무선 신호를 전달하는 장비다.
◆ 실내 전용 중계 기술로 건물 안에서도 넓고 빠른 5G 구현
우선 SK텔레콤은 HFR社와 개발한 28GHz 대역 인빌딩 중계기를 활용해, 최대 4Gbps 속도를 구현했다. 28GHz 대역은 전파의 직진성이 강해, 장애물을 우회하기 어렵고 커버리지도 짧다. 특히, 건물 내부는 벽으로 다양한 공간이 분리되어 있어, 전파 손실율이 높다.
이에 따라 초고주파수 5G 상용화를 위해선 실내 통신 서비스 품질 확보가 중요한 과제다. SK텔레콤이 인빌딩 중계기를 통해 수 기가급 속도를 구현함에 따라, 고객이 실내에서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5G 서비스 개발도 한층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SK텔레콤은 SK텔레시스와 함께 건물 내 3.5GHz 대역 5G 전파를 전달하는 인빌딩 중계기도 개발했다. SK텔레콤은 인빌딩 중계기를 지난 6월 국내 최초로 개발했던 3.5GHz 대역 5G 기지국과 연동해, 실내 5G 커버리지를 넓혔다.
이번 시연 성공으로 SK텔레콤은 실내외를 아우르는 5G 중계 기술을 확보했다. SK텔레콤은 지난 8월 서울 강남역 인근 ‘5G 시험망’에 28GHz 옥외형 중계기를 구축해, 도심 밀집 지역 내 통신 커버리지 확대에도 성공한 바 있다.
◆삼성전자와 태블릿 단말기 활용해, 도심 속 5G 서비스 시연

SK텔레콤 연구원들이 청계천에서 삼성전자 태블릿 단말기를 5G 시험망에
연동해 5G 360 VR 영상 통화 서비스를 시연하고 있다.
이날 SK텔레콤은 삼성전자와 함께 태블릿 단말기를 5G 시험망에 연동해 서울 을지로 SK텔레콤 T타워에 위치한 티움(T.um)과 청계천 인근 간 5G 360 VR 영상 통화 서비스를 시연했다. 고층 건물이 밀집한 을지로 주변에서 사용자가 이동 중 실시간으로 주변의 영상을 360 VR로 통화하는 데 성공했다.
을지로 주변은 빌딩 밀집 지역으로 전파 장애물이 많고 밀도 높은 데이터 트래픽이 발생하기 때문에 5G 상용화를 위해 실제 서비스 환경을 테스트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이다. SK텔레콤과 삼성전자는 빔포밍(Beamforming), 초고주파수 통신망 설계(Millimeter Wave Cell Planning), 네트워크 가상화 등 최신 기술을 적용해 안정적인 5G 시험망을 구축했다.
'빔포밍'은 안테나 빔을 수평, 수직 방향 및 임의의 3차원 방향으로 조정해 전파를 제어하는 기술이다.
5G 단말기가 태블릿 수준까지 소형화됨에 따라 SK텔레콤은 실제로 5G 망에서 단말이 잘 작동할 수 있도록 망 연동 연구에 본격 착수했다. 또,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5G 서비스 개발도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했다.
SK텔레콤 박진효 네트워크기술원장은 “실제 통신 환경에서 5G 핵심 기술 시연에 성공하며, 5G 조기 상용화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며, “고객에게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LG에 이어 삼성도 울렸다... 13억 인도 국민 감성 두드린 QLED 마케팅
- 영국, 충전소 설치 확대 가속...전기차 보급 위한 기반 구축에 집중
- '실리콘밸리에서 인공지능밸리로'... AI 경쟁력의 핵심 요인은?
- KT 케이툰, 뮤지컬 '아이러브유'와 공동 마케팅...첫 웹툰 '톡을 기다려' 30일 공개
- SKB, '옥수수(oksusu)' 공격적 오리지널 라인업으로 시장공략 본격화
- 삼성전자, 미국 생활가전 6분기 연속 1위 ...3분기 누계 18.9%·전년 동기 대비 2.1% 포인트↑
- '강화학습' 강화한 알파고제로... "선생님 없이 독학으로 진화했다"
- [VR 산업 진단④] 콘텐츠 및 유통까지 경쟁 우위 선점한 구글... 중국 업체 공세도 가속화
- IoT 보안 종합대책 발표한 일본... 2020년 도쿄올림픽 앞두고 사이버 보안 강화에 '총력'
- 한글과컴퓨터그룹, 현대페이와 손잡고 블록체인 기술 협력 추진
- 안승권 LG전자 CTO , “코딩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반드시 필요한 역량”
- 일본 정부, 로봇과 AI 활용 사회 인프라 정비 체계 마련에 적극 추진
- KT-인텔, 세계 최초 5G 시범 서비스 위해 손 잡았다..."네트워크와 플랫폼 역량 결합"
- SK텔레콤, 국내 자율주행 상용화 앞당긴다...산학연 자율주행 연합체 '어라운드 얼라이언스' 발족
- KT, 뱅크웨어글로벌과 알리바바 클라우드 협력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 나선다
- 악성 코드 설치 없는 시스템 해킹 '파일 없는 공격' 증가... 비트코인 채굴에도 악용
- SK텔레콤, 트래픽 10배 빨리 처리하는 5G 핵심 기술 개발
- SKT-슈나이더, '스마트 에너지' 공동 기술개발 협약..."빅데이터 분석한 AI 솔루션 건물 자동제어 시스템에 연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