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정부가 수도 런던을 포함한 지방정부에 숙박 관광객에게 관광세를 부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지방정부의 재정 확충을 지원하고, 관광으로 인한 도시 인프라 부담을 일부 상쇄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BBC 보도에 따르면, 런던 시장 사디크 칸은 그동안 중앙정부가 관광세 권한을 지방정부에 이양해야 한다고 꾸준히 주장해 왔다. 런던은 이번 논의를 “조심스럽게 환영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추산에 따르면, 런던이 관광세를 도입할 경우 매년 최대 2억 4,000만 파운드의 추가 수입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2024년 런던을 방문한 숙박 여행객은 8,900만 명에 달해, 실질적 재정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은 G7 국가 중 지방정부나 도시 시장이 관광세를 부과하지 못하도록 금지하는 유일한 국가다. 반면 스코틀랜드와 웨일스는 이미 다양한 형태의 관광세를 시행하고 있다. 스코틀랜드는 숙박 요금에 따라 세율을 결정할 수 있으며, 웨일스는 2026년부터 숙박객에게 1박당 1.30파운드의 관광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최근 발표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파리·뮌헨·밀라노·토론토·뉴욕·도쿄 등 주요 도시에서는 관광세가 일반적이며, 특히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호텔 위치나 등급에 따라 세금이 달라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 보고서는 영국이 전국적인 호텔 등급 제도가 없어, 런던은 고정 요금 또는 백분율 방식의 과세가 현실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또한 런던이 다른 주요 도시와 비슷한 세율을 적용할 경우 관광객 감소 가능성은 낮다고 결론지었다. 인기 여행지일수록 관광객이 세금에 덜 민감하다는 연구 결과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영국 정부의 이번 조치가 실제 입법으로 이어질 경우, 런던과 주요 도시들의 관광 정책과 재정 구조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