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외동포의 전자투표권이 시행될 전망이어서 발언권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이에 재외동포청이 추진하고 있는 ‘재외국민 참정권 보장 확대’가 실행될 전망이다.
재외동포청은 이러한 현안이 담긴 재외동포 의견을 국회와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 외교안보분과와 관계 부처에 이미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남아공 현지 동포들을 만나 “ 교민들이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재외국민들도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한민국의 주권자이지 않냐”며 “그런데 비행기 타고 가서 1박 2일로 투표했다는 등 주권 행사에 엄청난 제약을 느끼고 있다”고 했다.
또한 이 대통령은 “지금 국회에서 재외국민들의 투표를 전자투표로 하게 하기 위한 입법안들이 올라오고 있는데, 사실 지금도 정당 당대표 뽑을 때 전자투표를 한다.
이미 안전성에 검증이 됐기 때문에 앞으로는 재외국민이 투표를 할 때 1박2일, 3박 4일을 가야 하는 그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신임 김경협 재외동포청장도 지난 11월 초 " 재외국민이 해외에서 공관 투표를 위해 많게는 수백∼수천km를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는 일은 벌써 이뤄졌어야 할 일이다.
다만 우편투표나 인터넷 투표 등 재외선거의 제도개선은 법령 개정이 우선돼야 할 사항이다."면서 "재외선거 투표권자들의 요망사항을 국회에 적극적으로 전달하고 선관위 협의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힌바 있다.
관련기사
뉴스비전e
newsvision1@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