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월 1일부터 의약품, 가구, 대형 트럭 등 주요 수입품에 대해 고율의 징벌적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AP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 100%, 찬장과 욕실 세면대에 50%, 패브릭 가구에 30%, 대형 트럭에는 **25%**의 수입세를 매기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소셜미디어 ‘리얼 소셜’을 통해 “이미 미국 내 생산 공장을 건설 중이거나 착공한 기업에는 의약품 관세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설명했으나, 구체적인 적용 방식은 아직 불투명하다.
미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2024년 미국의 의약품 및 의료 제품 수입 규모는 약 2,330억 달러에 달한다. 이에 따라 일부 의약품 가격이 두 배로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의료비 증가와 연방 의료 보험 지출 확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 가구 및 캐비닛 제조업체들이 대량 덤핑으로 미국 산업에 피해를 주고 있다며, “국가 안보와 산업 보호 차원에서 관세 부과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주택 부족과 높은 모기지 금리로 주택 구매가 위축된 상황에서, 캐비닛 관세는 건설업체들의 비용 부담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는 또 수입 대형 트럭과 부품이 미국 내 제조업체의 경쟁력을 해치고 있다며, “피터빌트, 켄워스, 마크트럭 등 미국 트럭 제조사들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자유로워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싱가포르 《연합조보》도 트럼프 대통령이 같은 날 발표에서 수입 브랜드 의약품과 특허 의약품에 100% 관세를, 모든 수입 대형 트럭에 25% 관세를, 수입 캐비닛에 50% 관세를 부과한다고 전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나라들이 미국을 잠식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 안보 문제”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미국 상공회의소는 멕시코, 캐나다, 일본, 독일, 핀란드 등 주요 수입국들이 모두 미국의 동맹 혹은 가까운 파트너라는 점을 지적하며, “이들 국가 제품이 미국 국가 안보를 위협하지 않는다”며 새로운 관세 도입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각종 국가안보 조사를 근거로 여러 품목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어, 이번 조치가 미국 내 경제와 물가에 미칠 파장이 주목된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