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멕시코 정부가 다음 달 발표할 예산안에서 중국산 제품에 대한 수입 관세를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번 조치는 국내 제조업체 보호와 함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도에 따르면 관세 인상 대상에는 자동차, 섬유, 플라스틱 등 주요 중국산 제품이 포함된다. 멕시코 정부는 중국 보조금 제품이 자국 제조업체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관세율과 구체적인 조치 내용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최종안은 발표 전까지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멕시코 대통령 클라우디아 신바움은 늦어도 9월 8일까지 예산 초안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현재 신바움 대통령이 속한 정당과 동맹 세력은 국회 양원에서 3분의 2 이상 의석을 차지하고 있어, 관련 정책 통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올해 초부터 트럼프 행정부는 멕시코에 미국과 보조를 맞추어 대중(對中) 관세를 인상할 것을 압박해 왔다. 이에 멕시코 관리들은 “북미 요새” 개념을 제시하며 중국산 화물 유입을 제한하고, 미국·캐나다와의 제조업 연계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왔다. 현재 양국은 무역 협상을 이어가는 중이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 궈자쿤은 8월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멕시코는 라틴아메리카에서 중국의 두 번째 교역 파트너이며, 중국은 멕시코의 세 번째 수출 시장”이라며 “중-멕시코 협력은 상호 이익과 윈윈이 본질”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중국의 정당한 권익을 침해하는 어떠한 제한 조치에도 단호히 반대한다”며, 관련 국가들이 독립적인 판단으로 문제를 처리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미·멕시코 무역 관계는 더욱 밀착되는 반면 중국과의 경제 협력에는 새로운 긴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