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미국 정부가 저가 소포에 대한 관세 면제 제도를 오는 29일부로 종료함에 따라 유럽과 인도의 주요 우편 서비스 기관들이 잇따라 미국행 소포 발송을 중단하고 있다.

그동안 800달러 미만의 소포는 관세가 면제돼 미국으로 자유롭게 들어올 수 있었다. 미국 세관 및 국경보호국(CBP)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이 제도를 통해 총 13억6천만 개, 약 646억 달러 규모의 소포가 미국에 반입됐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이 제도를 폐지하면서 유럽 전역에서 물류 혼란이 확산되고 있다. 독일,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우편 당국은 23일부터 대부분의 대미 발송을 중단했으며, 프랑스와 오스트리아도 25일부터 동참한다. 영국 왕립우체국은 26일부터 미국행 소포 접수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영국은 100달러 이상 물품에는 선물까지 포함해 10%의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럽 최대 운송업체 돈하오(DONHAO)는 성명을 통해 “관세 부과 주체와 납부 방식, 세관에 필요한 추가 데이터 전송 절차 등이 여전히 불분명하다”며 “23일부터 상업 화물이 포함된 대미 우편 접수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인도도 마찬가지다. AFP통신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관세 부과·환수 메커니즘과 자격자 선정 절차가 불명확하다”며 25일부터 모든 대미 우편 접수를 중단하기로 했다. 단, 편지와 문서, 100달러 이하 선물은 예외로 한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은 지난달 체결한 무역 프레임워크에 따라 유럽산 상품에 15%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이번 면세 종료로 소액 소포 역시 모두 관세 대상이 되면서, 국제 전자상거래와 개인 간 선물 배송에 큰 차질이 예상된다.

프랑스 우체국은 “미국 세관이 시행 규정을 8월 15일에야 발표해 준비 시간이 극히 제한됐다”며 우려를 표했다. 전문가들은 “국제 물류망에 단기적 혼란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규현 기자 kh.choi@nvp.co.kr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