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이 지난 22일 국회 법사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여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이 지난 22일 국회 법사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여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인사혁신처장은 공직 사회의 인사 기준과 윤리를 이끄는 자리다. 약 100만 여 명으로 추산되는 전체 국가공무원(행정, 입법, 사법부 등 포함)의 표상이 되어야 하는 상징적인 인물이어야 한다.

 그런데 그 책임자가 공직 윤리를 정면으로 위배했다면, 그것만으로도 이미 사퇴 사유는 충분하다.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은 균형잡히지 않은 독불장군식 사고로 화를 자초했다.  본인은 물러나지 않겠다는 듯 버티는 모습이다.  그러나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조차 등을 돌렸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우군은 없는 형국이다.

 논란의 시작은 그리 복잡하지 않다.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폭력 사건을 두고, 그는 “가해자가 피해자로 둔갑하는 경우가 많다”, “정치공작이 의심된다”는 식의 발언을 했다. 이는 피해자에 대한 명백한 2차 가해다. 

 사적인 공간에서 한 말이었다고 해도 문제지만, 그는 이 발언을 공개 석상에서도 꺼냈다. 그런탓에 인사혁신처장으로 임명된 이후 더 큰 파장이 계속 이어지는 이유다.

 국회에 출석한 최 처장은 “기억나지 않는다”, “직원에게 들은 이야기다”라는 식으로 얼버무렸다. 마치 공직사회에 만연한 '기억상실증'의 전형을 보는 듯했다. 

 문제는 발언 내용뿐 아니라 태도다.  그는 사과를 강요받은 뒤에야 뒤늦게 SNS를 통해 “피해자에게 사과한다”고 했지만, 그 진정성은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조차 “더는 국민 앞에 얼굴을 들 수 없다”며  자진사퇴를 요구하는 실정이다.

 극과 극, 강대 강의 정치 구도가 대한민국 정치를 지배하는 사이 공직사회의 인사 기준은 그 어느 때보다 심하게 무너져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비전문가, 부적절한 발언자, 무책임한 태도 등 그 모든 것들이 반복되고 있다.

 최 처장의 막말시리즈는 여·야를 가리지 않고 혐오를 넘어 정신감정을 의뢰해야 되는 것 아니냐는 상황이 이를 정도다. 

 그는  공직사회의 인사와 '윤리도덕'를 책임지는 수장이다. 그런 그가 성폭력 피해자에 대해 조롱에 가까운 발언을 서슴지 않았다는 건, 국민이 가진 최소한의 도덕 감수성마저 능멸한 것이다.

 지금 이 자리에 앉아 있어야 할 사람은 피해자의 아픔을 진심으로 공감하고, 공직자의 언행을 스스로 경계할 줄 아는 사람이어야 한다. 

 최 처장은 한참전에 그 자격을 상실했다. 지나친 아첨(?)덕분에 설령 대통령의 신임을 받는다 해도, 국민의 신뢰가 무너졌다면 그 자리는 이미 무의미하다.

 여당 의원들조차 사퇴를 요구하는 상황이라면, 이는 단순한 여론의 풍향이 아니다. 

 그것은 ‘공직사회의 최소한의 선’을 지키자는 마지막 경고다. 더 버틸수록 개인이 아닌 정부에 대한 신뢰가 깨지고 회복 불가능의 강을 건너게 된다.

 7월의 마지막 주말 국민들은 유례없는 폭염에 시달리고 있다. 강선우, 이진숙에 이어 최동석까지 무슨 자격으로 국민들을 짜증나게 하는가? 

 더 이상 늦기전에 이쯤에서 스스로 내려오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부끄러움을 안다면 말이다. 대통령실도 더 이상 침묵으로 일관하지 말고 당장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김창권 大記者>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