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란의 미군 기지 폭격 위협과 호르무즈 해협 봉쇄 결의는 지정학적 긴장을 고조시켰으나, 국제유가는 하락했다 이는 시장이 봉쇄의 실제 실행 가능성을 낮게 평가하고, 미국의 원유 재고, 대체 수송 경로, 제한적 보복 규모, 이란의 경제적 제약 등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특히, 이란이 미군 기지에 대한 직접 공격 대신 이스라엘에 제한적 공격을 감행하며 확전 가능성을 낮춘 점, 그리고 미국과 이란 모두 전면전을 피하려는 신호를 보낸 점이 유가 안정화에 기여했다.
1) 낮은 호르무즈 해협 봉쇄의 실행 가능성 : 시장은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실제로 봉쇄할 가능성을 낮게 평가하고 있다. 이란은 과거에도 지정학적 위기 시 봉쇄를 위협했으나, 이를 실행한 적은 없다(예: 1980년대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제한적 공격에 그침).
봉쇄는 이란 경제에도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 이란은 원유 수출의 주요 고객인 중국과 인도에 의존하고 있으며, 해협 봉쇄는 이들 국가와의 무역에도 영향을 미친다. 스티븐 쇼크(쇼크그룹 대표)는 "이란은 봉쇄로 자국 경제의 숨통을 끊을 가능성이 낮다"고 분석했다.
2) 미국 원유 재고 및 글로벌 공급 안정성: 미국의 원유 재고가 충분한 상황은 유가 상승 압력을 완화한다. X 게시물에 따르면, 미국 원유 재고가 넉넉해 단기적 공급 우려가 크지 않다.미국과 중국이 SPR 방출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와 사우디 국영 석유사 아람코가 이스라엘-에일라트 송유관을 통한 우회 수송 계획을 가동 중이라는 보도도 유가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아랍에미리트(UAE)의 하브샨-푸자이라 송유관(일일 150만 배럴 수송 가능)을 통해 호르무즈 해협을 우회하는 대체 경로가 존재하며, 이는 중동 원유 공급의 안정성을 높인다.글로벌 원유 시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이미 지정학적 리스크에 적응된 상태로, 추가적인 충격에 대한 내성이 강화되었다.
3) 제한적인 지정학적 확전 가능성: 이란의 보복이 미군 기지에 대한 직접적 대규모 공격 대신 이스라엘에 대한 제한적 미사일 공격으로 그쳤고, 이는 전면전으로의 확전 가능성을 낮춘다.X 게시물에서 마이클 브라운은 이란의 미사일 공격을 "체면을 위한 행동"으로 평가하며, 확전 우려가 줄어들면 유가에 하락 요인이 작용한다고 언급했다.
미국 부통령 JD 밴스는 이란의 봉쇄 시도가 "경제적 자살 행위"라며, 미국이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억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강조해 긴장이 완화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4) 이란 내부의 정치적 제약: 호르무즈 해협 봉쇄는 이란 최고지도자 하메네이의 재가가 필요하며, SNSC의 결정도 정치적·경제적 비용을 고려해야 한다.이란 내부의 강경파는 봉쇄를 촉구하지만, 실제 실행은 중국·인도와의 관계, 국제 제재 강화, 국내 경제 악화 등을 고려해 신중할 가능성이 크다.
필자 전병서는
중국 칭화대에서 석사, 푸단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우경제연구소에서 반도체와 IT애널리스트로 17년간 일했다. 대우증권 상무, 한화증권 전무를 지냈다. 이후 19년간 중국경제와 금융연구를 하고 있다. 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으로 있으면서,성균관대 중국대학원, 중앙대 경영전문대학원에서 MBA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금융대국 중국의 탄생”, “중국100년의 꿈 한국10년의 부”, “기술패권시대의 대중국혁신전략”, “한국반도체 슈퍼乙 전략” 등의 저서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