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이제 한미 관계는 전통적인 군사동맹 관계를 뛰어넘어 한미 경제동맹 관계로 진화하고 있다.

이제 미국 입장에서 봤을 때 한국은 세계 최대 투자국 반열에 올랐기 때문이다.

대미 투자 순위가 2010년대에는 10위권이던 것이 이제 일본과 대만을 제치고 1위로 올라섰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자료를 인용, 한국은 2023년 215억 달러(약 31조 원)를 미국에 투자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가 최근 보도했다.

한국수출입은행의 해외직접투자(FDI) 통계에서도 한국 기업들의 1위 투자 대상국은 중국을 제치고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14년 연속 미국이었다.

현재 한국무역협회 2024년 분석에 따르면  미국에서 활동하는 한국 기업체는 2432곳에 이른다.

미국은 인구는  3억 명으로 중국의 22%수준이지만  소득 수준과 실제 구매력이  워낙 높아  포기할 수 없는 ‘제2의 내수시장’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한국 기업들의  지나친  미국 투자는  국내 산업의  공동화(空洞化)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전 세계 생산기지의 중심축 역할을 할 수 있는 ‘마더 팩토리’는 필히  한국에 두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조언한다.

전 세계(미국) 생산기지에서 생산될 상품에 대한 핵심 기술 연구을 위한 R&D기지,  시험 생산기지, 글로벌 공급망 관리 등 핵심적인 기능을 한국에서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실업률 대책 차원, 특히 첨단기술 유출을 방지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차원에서  기업들의 전반적인 대미 투자 전략을 조율하는 기능을 발휘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