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쵝근 100세이상 오래사는 장수마을 지역 발표가 있었습니다.
무주군이 10만명당 100세이상 어르신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조사되어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우리지역에서는 무주군을 비롯한 고창군과 장수군도 장수지역으로
무주군이 인구 10만명당 100세이상 집계결과 전국1위의 장수마을로 나타났습니다.
장수마을 1위에서 10위까지의 분포도를 보면 6곳이 전북과 전남등 호남지방에 몰려 있는 곳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지난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전국 100세이상 노인인구는 6,922명으로 밝혀졌습니다.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해를 거듭 할 수록 100세 인구는 매년 늘어나고 있습니다.
장수마을은 특히 산간 지역에 많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도시보다 상대적으로 공기가 맑고 경사진 길을 자주 오르 내려다보니 자연스럽게 운동량이 많아지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옛날에는 만 60세까지 살아있다면 그 기념으로 벌이는 "환갑잔치" 는 시골 마을에는 돼지를잡고 농악과 풍악을 울리며 큰 잔치를 베풀었습니다.
환갑맞은 집안의 사는 형편에따라 1박2일 또는 2박3일동안 잔치를 벌이기도 하였습니다.
그 시절에는 시골 마을마다 공동천막과 멍석이있어 청년회원들이 천막을치고 멍석을 깔아주고 한바탕 잔치가 벌어지는 옛 추억이 되었습니다.
잔치가 벌어지면 동네 어른들은 물론 아이들도 모두 몰려들었습니다.
그 시절에는 배 곯았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환갑잔치는 참 반가왔던 추억들이 있었습니다.
가족들은 손자부터 동지간들 그리고 가까운 고모네 가족까지 모두가 한복을 맞춰입어 가족임을 표시했고 잔치를 즐겼습니다.
환갑잔치는 돼지고기는 물론이고 떡. 부스게. 식혜. 잡채. 홍어회. 과일등 그야말로 모처럼 푸짐하게 먹어보는 맛난 음식이었습니다.
1960년대 중반 이전에는 낮은 의료기술 수준으로 평균 수명이 만 60세에도 못 미쳤기 때문에 환갑일까지 사는게 쉽지않았고 이런 이유로 환갑을 맞이한 것을 크게 축하하며 잔치를 벌였습니다.
1980년도 초만해도 남자들의 평균수명이 62세 정도였으며 환갑을 넘겨사는 사람이 절반도 안되었기 때문에 환갑의 의미는 자식들에게 아주 컸습니다.
상다리가 휘어지도록 음식을 차려놓고 자식들이 큰 절을 올리며 부모님의 만수무강을 기원하였습니다.
다른 날은 끼니를 때울지라도 그날 만큼은 배불리 먹을게 많아서 좋았던 그래서 남의 집 잔칫날이라도 기다려기도 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때는 우리가 어려서 그런지 환갑잔치의 주인공이 굉장히 나이가 많은 어르신으로 느껴졌습니다.
그 시절 답례품으로 타올에 자식들 이름을 모두 새겨놓고 선물로 나누어 주었습니다.
그후 1988년도 말을 기점으로 우리나라 평균 수명이 70세를 넘기며 환갑맞이는 아주 흔한 일이 되었습니다.
특히 시골의 경우는 젊은이들이 도시로 떠나고 극심한 저 출산으로 환갑맞이는 대수롭지 않게 되었습니다.
자녀들의 결혼연령이 늦어지고 부모가 환갑을 맞이해도 자식들은 20대 후반이나 30대 초반이기 때문에
자식들이 부모님 환갑잔치 해 주는 것은 이제 옛말이 되었습니다.
이제는 "고희"나 "팔순잔치"도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
만약에 초대를 한다해도 왠지 어색하고 지금이 어떤시대인데 초대를 하느냐는 소리를 듣기 십상입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의료기술 발달과 풍족한 영양식생활로 건강한 삶을 영위 하다보니
지금의 환갑나이는 청년이고 고희나 팔순이 되어도 초청잔치를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가족 친지들과 함께 맛있는 음식을 나누며 축하를 해주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가족끼리 여행을 떠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사회가 발달하고 의료기술과 식생활의 발달로 평균수명은 많이 늘어났습니다.
누구나 무병장수하고 싶은 마음에 다이어트와 건지산등 맨발걷기 열풍이 불고 있기도 합니다.
필자는 지난 칼럼에 맨발걷기 열풍에 대하여 글을 올려드렸습니다.
보건복지부 발표에 의하면 우리나라 평균 기대 수명은 83.3살이라고 합니다.
OECD평균 수명이 81살이라고 하니 우리나라 평균수명은 굉장히 높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남자의 평균 수명은 80.3년 정도이고 여자의 평균수명은 86.3년이라고 합니다.
즉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 6년을 더 오래살고 반대로 남편이 아내보다 평균 6년 더 먼저 죽는다는 것입니다.
6년 먼저 세상을 떠나는 불쌍한 남편들에게 위안을 주고 스트레스를 받지않도록 바가지를 긁지않는다면 6년격차를 3년으로 줄일 수 있을 것 입니다.
필자가 생각에는 남자들이 6년먼저 떠나는 이유는 남자들은 가정을 책임지어야 하는 가장으로 흡연과 음주등 스트레스 그리고 직장및 사회생활 속에서 과로등의 원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농촌에 빈집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평균 수명이 장수지역으로 밝혀진 무주군을 비롯한 고창군.장수군 진안군.임실군. 순창군등 청정지역에 도시민들이나 고향을 떠난 출향인사들에게 귀농귀촌 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주고 지자체에서 길을 열어준다면 금번 100세이상 장수지역과 함께 각광을 받을 것 입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물 좋고 공기좋은 자연환경이 뛰어난 곳"에 100세 장수인구가 많았지만 이와 더불어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노인복지 시스템이 잘 갖춰진 지역이 앞으로 장수마을이 될 가능성이 크다"며 특히 농촌 지역은 도시보다 인구 자체가 적어 찾아가는 서비스등 노인들을 위한 맞춤형 복지서비스가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고 분석 하였습니다.
이형권 칼럼니스트 leehyung@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