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진실(眞實)과 진심(眞心)은 말이 아니라, 마음과 마음을 통해 느끼는 것입니다.  

도덕경(道德經)에 지자불언 언자부지(知者不言 言者不知)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말하는 사람은 알지 못한다"라는 뜻입니다.  

지혜롭고 지식이 많은 사람은 오히려 말이 없고, 어리석고 무식한 사람은 자신을 과시하고 싶은 마음에 하루 종일 떠들면서 다닙니다.  

한마디로 빈 수레가 요란한 법이죠.  

"말이 곧 그 사람을 말해준다"는 말이 결코 과장된 표현이 아닌 것입니다.

오늘날 이 시대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필히 말해야 할 때 말할 줄 아는 능력"입니다.  

또 분명히 아는 것을 말하는 태도입니다.  

다시 말해 상황을 정확히 읽고 그 상황에 맞는 가장 시기적절한 말을 할 수 있는 센스(sense)가 필요한 것입니다.  

가령 그 상황을 잘 알지 못하거나, 그 과정을 생략하고 그 결과만 가지고서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만을 그럴싸하게 나타내거나 주장한다면, 한마디로 교언영색(巧言令色)이 되고 말죠.  

즉, 상대의 안색을 살피지 않고 불쑥불쑥 말하는 사람은 "눈뜬장님"이나 다를 바가 없는 것입니다.  

말은 잘하지만 그 말을 제대로, 품격 있게 하는 능력은 없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말을 잘하는 잔꾀는 있지만 그 말을 뒷받침할 내공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진실이 무엇인지?" 참으로 알기 어려운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진실"과 "진심"은 입 밖으로 새어 나오지 않습니다.  

그 진실한 말과 그 진심 어린 말이 사람 입을 통해 밖으로 나왔을 때, 과연 그 말이 진실한가를 한번 음미해 봐야 합니다.  

진실과 진심은 말로써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마음과 마음을 통해 느끼는 것입니다.  

자질구레하고 잡다한 말이 많은, 이런 번잡한 때일수록, 우리는 마음의 밭을 가꾸는 노력이 절실한 것입니다.  

말을 정말로 잘하는 사람은 남의 이야기를 잘 듣는 사람입니다.  

대화를 통해서 목적한 바를 달성하는 사람입니다.  

성공한 사람 가운데 달변가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그 대신 남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듣고, 이런저런 질문을 많이 던집니다.  

그리고 질문을 통해서 대화의 질도 높이고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화제를 이끌어 나갑니다.  

성공한 사람과 대화를 나누다 보면 어느 한 순간 "이 사람은 참 진실하구나!" 하는 걸 느끼게 됩니다.  

세 치의 혀로 대화하지 않고, 마음으로 대화하기 때문입니다.  

진실한 사람은 미워할 수 없습니다.  

육체나 영혼이 깨끗해지기를 바라는 것은 사람의 본성입니다.  

때가 덜 묻은 순수한 사람을 만나면 괜히 기분이 좋아집니다.  

그러기에 성공한 사람 가운데 뜻밖에 순수한 사람이 많은 것입니다.  

"마음에도 없는 말로 사람을 이용하거나 속이려 들지 마라. 속인 사람은 금세 잊어버려도, 속은 사람은 평생 잊지 못한다."  

인격적으로 완성된 사람은 자신을 과시하지 않아도 그 인격이 저절로 몸에 배어 은연중에 언행에서 풍겨져 나옵니다.

윤금영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