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소비 시장이면서 공급 시장이다.

이에  중국 경제가 나빠지면 다른 나라에도 악영향이 미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는 직격탄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되어 왔고 실제 데이터 수치로 나타나고 있다.

작금의 한중관계는 가깝게 하기에는 멀고 멀게 느끼기에는 가깝게 느껴지고 있다. 그야말로 '우려반 기대반'인 상황이다.

하지만 초기에 거세게 몰아부쳤던 미국의 우방국 동맹과의 공조를 통한 대중(對中) 제재 압박이 다소 힘을 잃고 있는 듯하다.

최근 중동 지역에서 중국의 입지가 점점 넓어지고 있고 나아가 인도, 유럽 등 많은 나라들이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중립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중국에 우호적인 손짓을 보내면서 미국이 위기감을 느끼고 있는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문제는 미·중 갈등이 심화할수록 곤란해지는 건 그 사이에 낀 한국이라는 점입니다. 

특히 미·중 갈등 심화에 따른 자원 무기화 양상이 뚜렷해지면서 전기차·배터리·반도체 등 우리나라 주력 산업은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질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14개월 연속 대중 수출 감소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적과도 장사할 수 있는 나라다"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문제는 미국과 중국의 관계가 악화할수록 미국의 동맹인 한국은 선택에 몰릴 수밖에 없다. 

그 결과 최근 중국이 한미일 공조 체제 공고화에 대놓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면서 한중 관계가 경직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신임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12일 취임 기자회견에서 "한국이 동맹과 연대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중국과 관계가 다소 불편을 겪고 있다"며 특히 북핵 문제와 관련한 한·중 간 입장 조율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조 장관은 그러면서도 양국 협력의 잠재성을 높이 평가하며 "작은 일부터 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긴 역사적 관점에서 한중관계는 관리 되어져야 한다. 이읏관계를 청산 할 수 없는 법이다.

한미동맹은 필수불가결의 원칙이다. 하지만  지나친 일방적인 대미 편향외교도 우리에게 그리 효과적인 최선의 방책은 아니다.

중국의 급격한 첨단산업 부상과  경제신장으로  작금의 한중관계는 상호보완적 관계라기 보다는 상호경쟁적 관계로 전환되어 가고 있다.

하지만 적절한 교류 협력 관계 유지는 한반도평화 정착과 국가 경제를 고려시 긴요하다.

마치 "지구와 태양의 거리가 달라지면 둘은 공존 할 수 없다. 사람과 국가의 관계도 이와 같다. 최적의 거리를 유지할 때 공존한다 " 는 철칙을 잊지 말아야 한다.

국가간의 정책이 한계에 봉착하면 민간교류를 통한 대책을 통해 소통과 협력의 끈(거리)은 유지해야 한다.

러시아 부랴트 공화국 한국어 학당 
원장 박보근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