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수소 발전의 상용화 추진

지난 6일 발표된 자원정책 수정 초안에 따르면 일본은 재생에너지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2040년까지 수소의 연간 공급량을 현 수준에서 5배인 약 1200만 t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교도통신 도쿄가 4일 보도했다.
이 초안에 따르면 이를 위해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이끄는 정부가 앞으로 15년간 공공·민간 부문으로부터 15조엔(약 1130억달러)의 투자를 유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화요일 관계장관회의에서 2017년 수립한 '기본수소전략'을 올해 5월 말까지 수정하겠다고 약속했다.
일본은 2050년까지 온실가스 제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수소가 '그린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핵심 동력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의미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녹색전환' 채권과 민간부문 투자를 활용해 일본의 탈탄소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2023회계연도 하반기부터 약 20조엔 규모의 '녹색전환' 채권을 발행할 계획이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일본 정부는 호주, 중동,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 협력해 더 많은 수소를 공급하기 위해 국제 공급망 구축을 가속화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 일본의 전력 공급 분야에 신기술을 도입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기본 수소 전략'에 따라 일본 정부는 수소연료전지를 장착한 자가용과 버스를 널리 이용하도록 장려하겠다고 약속했다.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수소 발전의 상용화도 약속했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관련기사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