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2조, 2018년 31조, 2019년 28조로 3년간 3조 하락

구미국가산업단지 / 사진=최규현 기자
구미국가산업단지 / 사진=최규현 기자

구미국가산업단지가 2005년 수출 300억 달러를 달성한 이후 14년만에 최악의 실적이 예상되고 있다.

1216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분석한 한국산업단지공단의 국가산업단지 산업 동향에 따르면 구미국가산업단지 총 생산량은 2017321,000억 원, 2018311,000억 원, 2019285,000억 원으로 최근 3년간 36,000억 원 줄어들었다.

전국 38개 국가산업단지 중 시화, 여수, 창원, 반월에 이어 5번째로 2018년 대비 생산액감소 폭이 큰 산업단지다.

수출액도 크게 줄어들면서 20172157,000만 달러였던 수출액은 20181885,000만 달러로 줄어들었고 2019년에는 1356,000만 달러로 하락했다.

전국 국가산업단지 중 창원의 -43.3%, 여수의 -33.1%에 이어 2018년 대비 3번째인 -28.1%로 수출감소 폭이 큰 단지에 이름을 올렸다.

구미국가산업단지 평균 가동률은 201768.9%, 201866.8%, 201970.4%3년 간 가장 높게 나타났으니 전체 1940개 가동 업체 중 1731개 업체를 차지하는 50인 미만 기업 가동률은 201742.1%, 201831.1%, 201933.5%로 추락해 30% 초반대로 하락했다.

같은 기간 경북의 국가산업단지 중 포항 국가산단의 총 생산량은 2017113,700억 원, 2018127,00억 원, 2019122800억 원으로 늘었다.

수출액은 2017346,200만 달러, 2018402,000만 달러, 201936억 달러였고 포항국산단의 평균 가동률은 2017년은 85.9%, 201888.5%, 201985.6%를 기록했다.

유환익 한국경제연구원 혁신성장실장은 최근 국가산단은 내수위축과 수출수요 감소로 실체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특히 산업단지는 지역경제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만큼, 지원제도 정비 및 확대, 무역리스크 해소 등 적극적인 정책 노력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전국 국가산업단지의 20191~9월 총 생산액은 3636,000억 원으로 2018년 같은 기간 413조 원보다 12.0%(494000억 원), 2017년보다 9.2% 감소했다.

20191~9월 기간 수출액은 11502,000만 달러로 2018년 대비 16.8%, 2017년보다 19.3% 줄었다.

평균 가동률은 20171분기부터 5분기 연속 하락하다 20182분기 다시 80% 선을 회복했으나, 20191분기 77.5%로 하락한 이후 3분기 77.9%80% 선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