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고용지표와 인플레 수준에 달려

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사실상 ‘제조 금리’ 시대를 종료했다. 이는 통화 긴축 정책으로 확연히 정책을 선회한 것으로 풀이된다. 40년 만에 최고 수준을 찍은 고(高) 인플레이션 억제에 방점을 둔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최근 세계적인 경제 거물들이 향후 경기 침체를 예고하고 있다.

25일(현지시간) CNBC는 주요 은행의 경제학자들은 최근 33% 미만의 경기 침체 가능성을 예상했지만 최근에는 “경기 침체 확률을 높이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로젠버그 리서치의 데이비드 로젠버그 대표는 최근 CNBC 인터뷰에서 올해 여름, 빠르면 오는 6월, 늦어도 8월 정도면 경기 침체가 시작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CNBC는 미 연준이 3년 만에 처음으로 금리를 인상하고, 지속적인 금리 인상을 시사하면서 경기 침체에 대한 두려움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들은 러시아발 지정학적 혼란과 이에 따른 식량과 에너지 가격 급등, 아직 종식되지 않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속에서 경기 회복 지연등이 겹치면서 경기 침체가 임박할 것으로 보기 시작했다.

마크 잔디 무디스애널리틱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CNBC에 "긴축 정책이 경기 침체의 재료"라며 "연준이 실수를 저질러 브레이크를 너무 세게 밟으면 경제를 침체에 빠뜨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준은 올해 들어 1월 27일 0.25%에서 3월 17일 0.5%로 금리를 인상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FedWatch Tool)은 연준이 연말까지 미국의 금리가 2.25%에 도달할 확률이 70%를 웃돈다고 예측했다.  

하지만 연준이 최근 3년 만에 처음으로 금리인상을 단행했지만 러시아발 지정학적 혼란과 아직 종식되지 않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속에서 인플레이션 억제와 불황을 피하는 균형을 맞추는 난관에 봉착했다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금리 인상 문제의 판단 기준이 될 예정인 미국의 고용과 물가 보고서 등 주요 경제지표가 향후 연준의 금리 인상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인플레 수치가 예상보다 더 높아지면 연준의 ‘빅 스텝’에 무게가 실릴 것으로 보인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