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도상국에게 불리한 협정 내용 감지
탈 석탄의 정당성과 자금 조달에 중정을 둔 결정
선진국들 기후변화에 책임지는 자세 가져야

남아프리카공화국 환경부장관이 선진국을 향해 쓴소리를 날렸다.
바버라 크리시 남아공 농림수산식품부 및 환경부 장관은 9일(현지시간) 데일리 메버릭(Daily Maverick) 남아공 현지 일간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는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진행 중인 COP26 (제26차 유엔 기후변화 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논의 중인 기후위기 협상과 탈(脫) 석탄 성명서에 서명하지 않을 것이다" 라고 전했다.
이번 기후변화 협약 당사국 총회를 통해 40개국 및 기관들이 탈 석탄을 목표로 삼기로 합의하였는데,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그들의 협정에 동참하지 않을 것이란 의사를 분명히 하였다.
크리시 장관은 "남아공 정부는 탈 석탄 협정에 서명하지 않았습니다. 우리 정부의 입장은 탈 석탄과 같은 중대한 결정은 보다 더 공식적인 협상 과정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입니다.”라고 인터뷰를 통해 전하였으며 “이번 협상 과정에서 온전한 탈 석탄 플랫폼 구축에 있어 개발도상국들에게 매우 불리한 쪽으로 추진되고 있음을 감지하였습니다.”라고 덧붙였다.
장관은 해당 사안에 대하여 탈 석탄을 위하여 서두른다면 자산 하락현상(시장 변화로 인해 자산의 가치가 떨어지는 현상)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석탄발전소와 같은 경제 기반시설은 더 이상 경제적 수익을 창출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를 수도 있다고 지적하였다.
해당 지적 관련 장관은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일은 한 국가의 자산이 좌초되어 그 가치가 사라지는 것이며 그리고 우리는 어떠한 변화에도 결국 승자와 패자가 있다는 걸 잘 알고 있다. 또 패자들은 좀처럼 승자가 되지 못하며, 대게 노동자들과 그들의 커뮤니티 가 해당된다고 설명했다.
장관은 해당 결정에 대하여 남아공 공공 전력 회사인 에스콤의 전력 전환 계획(Just Energy Transition Plan)의 지침에 따라 개발도상국과 같은 작은 국제 경제들이 탈 석탄 과정에서 더 이상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탈 석탄의 정당성과 자금 조달에 중점을 둔 결정이라고 설명하였다.
장관은 가스가 석탄 탄소배출량의 절반 정도 되기 때문에 정부로부터 탈 석탄 과정에서 중요한 대체 에너지로 여겨지고 있다고 말하였다. 이에 2050년까지 투자자들이 어떻게 가스의 가치를 평가하여 투자할 것인가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남아공의 국가 경제 개발 계획은 2050년까지 '탄소 순제로'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지만,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
그녀는 끝으로 선진국들이 기후변화에 대한 역사적 책임을 반드시 지어야 하며 그렇기에 기후변화의 책임의 대한 정확한 정의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른바 선진국들은 기후변화 지원 금융을 통하여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는 재정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케이프타운(남아공)= 써니 문 기자 sunnymoon@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