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A' 표준, 저·초고주파 대역 모두 활용할 수 있는 국제 규격이 될 전망
[뉴스비전e 정윤수 기자] KT(회장 황창규)는 27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2017 MWC 2017에서 AT&T, NTT 도코모, 퀄컴, 인텔, 등 22개의 글로벌 ICT 기업들과 함께 5G 및 LTE 망을 융합하는 'NSA'(Non Standalone) 표준을 ‘17년 12월까지 완료해 달라는 제안을 이동통신 표준화 협력 기구인 3GPP에 전달한다고 밝혔다.
KT와 함께하는 글로벌 ICT 기업들은 3월 6일부터 크로아티아의 두브로브니크에서 열리는 제 75차 3GPP 총회에서 5G New Radio 규격의 1단계에 해당하는 'NSA'(Non Standalone) 표준 확정과 관련된 제안서를 공동 제출할 예정이다.
‘NSA’는 5G 기지국으로 들어온 전파를 LTE 유선 망에 연결하는 등 5G 및 LTE 망을 하나의 네트워크처럼 활용하는 기술로, 기존 LTE 망을 5G 상용화에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 글로벌 ICT 기업들의 'NSA'(Non Standalone) 표준 제안을 3GPP에서 받아들이면 'NSA'(Non Standalone) 표준이 5G 규격의 첫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3GPP 릴리스 15’의 일부로 포함될 예정이다. 또한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 및 초고주파 대역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국제 규격이 될 것으로 KT는 전망했다.
당초 3GPP의 5G 규격 확정 계획에 따르면, 표준을 준수하는 기지국 장비 및 단말을 활용한 5G 상용화 가능 시점은 일러야 2020년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이번 제안으로 5G 망 구성과 관련된 표준 규격 문서가 올해 12월 우선적으로 완료되면 2019년 대규모 시범망 및 상용 서비스가 가능할 전망이다.
KT를 포함해 이번 선언에 참여한 지지 업체는 'NSA'(Non Standalone) 표준이 조기 완료되고 규격이 출시된 후 3GPP에서 추가적으로 승인하는 규격과의 호환성(forward-compatibility)을 확보하기 위해 향후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KT의 네트워크전략담당 이용규 상무는 “KT는 작년 6월 완성한 ‘평창 5G 규격‘ 의 핵심이 'NSA'(Non Standalone) 표준 기반”이라며, “이번 제안으로 이와 같은 KT의 전망이 기술적인 정당성을 평가 받은 것으로 2018년 5G 시범 서비스의 성공을 바탕으로 꼭 5G 상용화를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KT, MWC 2017에서 ‘미리 보는 세계 최초 KT 5G 서비스’ 선보인다
- SK텔레콤, 3GPP에 5G 네트워크 구조 혁신 및 일정 가속화 공동 제안..."글로벌표준 주도"
- 삼성전자, MWC2017에 프리미엄 갤럭시 태블릿2종 등 차세대 제품 대거 공개
- 홀로그래픽 통화솔루션 '텔레프레즌스' ...포켓몬고 이어 AR산업 대세 되나
- SK텔레콤, 차세대 AI 로봇 공개..."AI 대중화 시대 열렸다"
- 평창동계올림픽 공식 파트너 KT "세계 최초 5G 성공 다짐"
- 삼성전자, 갤럭시탭S3·갤럭시북 공개...MWC2017에서 프레스컨퍼런스
- 삼성SDS, MWC2017에서 AI기반 챗봇 적용 리테일 혁신 솔루션 공개
- KT MWC 전시관 찾은 펠리페6세((Felipe VI) 스페인 국왕
- 5G부터 VR·IoT까지...황창규 KT 회장, MWC서 KT 부스 찾아 ICT 기술 체험
- KT, 광주에 홀로그램 극장 개관...실감미디어 분야에 KT 혁신기술 접목
- KT등 글로벌 통신사, ‘공공선을 위한 빅데이터’ 이니셔티브 동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