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스랩·네스원·파이칩스 등 중소기업과 유기적 협력

[뉴스비전e 정윤수 기자] KT(회장 황창규)는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와 중소기업들의 기술 협력을 통해, 저전력으로 넓은 지역에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NB-IoT’ 단말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지난 해 3월부터 연구해 온 이 기술을 위해 KT는 개방형 IoT 서비스 플랫폼 및 단말 검증 환경을 제공하였으며, ETRI는 주관 연구기관으로서 NB-IoT 시스템 설계를 담당했다. 또 참여 중소기업들은 모뎀과 프로토콜, 디바이스, RFIC 개발을 맡아, 모든 참여업체와 기관이 설계부터 개발까지 밀접한 기술교류를 통해 이번 기술 개발에 성공하게 되었다.
또한 KT와 ETRI는 15일 중소기업들과 함께 대전 ETRI 연구소에서 기술시연 행사를 열어 NB-IoT 시범용 단말을 공개하고, 단말을 활용한 IoT 서비스로 ‘차량 토탈 케어’와 ‘스마트 주차’ 서비스를 함께 시연하였다. 이 NB IoT 단말을 활용하면 다양한 IoT 서비스 개발 및 검증시간 단축이 가능하다.
이날 공개된 ‘차량 토탈 케어’ 서비스는 차량의 문열림 감지 센서를 통해 침입이 감지되면 즉시 차주와 보안센터에 통보하여 대응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며, ‘스마트 주차’ 서비스는 차량 감지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주차공간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제공해 주는 사물인터넷 서비스이다.
KT와 ETRI는 중소기업과 협력을 통해 이번에 선보인 시범용 단말을 상용 NB-IoT 단말 시험장비와 호환성 검증 후, 2월 중 단말용 칩셋(SoC: System on Chip) 개발에 착수하여 궁극적으로 칩셋 국산화까지 추진할 예정이다.

미래창조과학부의 5G 국책사업으로 진행된 이번 개발은 KT와 ETRI를 비롯하여 네스랩, 네스원, 파이칩스 등 국내 중소기업들이 참여했다.
정부와 대기업, 중소기업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최초로 사물인터넷 기술 국산화 개발에 성공했으며, 이미 5G 중소기업 협력체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들과 5G 생태계를 구축한 바 있다고 KT는 강조했다.
KT는 앞으로도 이러한 노력을 통해 사물인터넷 생태계 확장,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및 국내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예정이다.
ETRI 정현규 5G기가서비스연구부문장은 “본 기술은 산업 전반에 걸쳐 IoT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혁신적인 기술로 기대한다”며, 향후 단말 및 기지국의 활용도를 높이고 다양한 IoT 서비스 제공을 위해 중소기업과 협력을 지속적으로 이뤄 상용화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KT 이동면 융합기술원장은 “금번 NB-IoT 단말 기술 시연 성공은 KT와 ETRI가 국내 중소기업과 협력을 통해 사물인터넷 생태계 활성화에 끊임없이 매진한 성과”라며, “앞으로도 KT는 NB-IoT 단말 칩셋 국산화와 함께 KT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중소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유플러스, 홈IoT 사업 확장 가속화... 수도권 오피스텔에 IoT 서비스 제공
- SK㈜ C&C, BP사 대상 인공지능 Aibril 교육 실시..."국내 인공지능 산업 생태계 조성에 앞장"
- LG유플러스, ‘리브메이트’ 바이럴 영상 통합 조회수 342만건 돌파
- "SK텔레콤, 태국 IoT 망 구축한다"... 태국 국영통신사 CAT 사와 공동으로 푸켓 및 방콕에 LoRa 시범망 구축
- 황창규 KT회장 "지능형 네크워크 기반 플랫폼 사업자로 도약해야... 2020년 비통신 분야 매출 20~30%로 변신"
- KT경제경영연구소, ‘미리보는 MWC 2017’ 보고서..."5G 기술과 융합서비스 진화 두드러질 것"
- KT, MWC 2017서 로밍 데이터 활용한 감염병 확산 방지 솔루션 ‘스마트 게이트’ 전시
- 락인컴퍼니 "상반기 중 자사 개발 전 제품에 iOS 앱 보안 서비스 제공"
- KT, 협력사와 MWC 2017 동반참가...‘ICT 한류’기업 동반성장 생태계 구축
- "G6, 전작 'G5'보다 판매량 증가할 것"...LG전자 MC사업부 적자폭 줄어들까
- [일본의 핀테크 산업을 조명한다] 日 금융기관 ‘핀테크 투자 본격화’...투자·저축 편리화까지 서비스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