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교육청은 오늘 발표된 '서울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자료집에 실린 '학업성취도 변화의 원인 분석 연구 - 2012년과 2015년 중3 패널 비교'(고려대 홍세희 등 4인 공저)에 따르면 2015년 중3 학생의 국어성취 평균이 16.6점으로 2012년 중3학생들보다 1.5점 하락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국어 성취도가 떨어진 결과에 대해 최근 2~3년 동안 스마트 폰을 가진 학생이 급증 했다며, 독서량이 줄고 자극적인 정보가 많아지면서 학생들의 종합적인 사고력·판단력·논리력이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진은 "요즘 학생들은 장문의 텍스트를 읽고 해석할 기회가 많지 않으며 올바른 단어 및 국어능력을 제대로 습득하지 못하고 있다"며 "단편적이고 일시적인 줄임말이나 축약이 유행하면서 언어파괴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어휘력, 글쓰기 능력 등 국어 관련 학업능력의 저하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영어에서는 이런 영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 됐는데 이는 영어 학습을 더 이른 나이에 시작하고 사회 전반적으로 영어 사용이 늘어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전했다.
또한 영어 성취가 높아진것은 국어 성취가 떨어진 것과도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는데 국어 공부가 소홀해 지는 반면에 영어가 조금씩 이 틈을 채우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방과후 학습이 학생들의 성취에 영향이 없다는 연구결과에 대해서는, 낮은 성취도를 가진 학생들이 방과후 학습을 많이 듣어 성취도 변화에 영향을 끼지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김호성 기자
newsvision-e@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