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뉴스비전e>

[뉴스비전e 이미정 기자] 때이른 무더위가 연일 이어지면서 열사병·열탈진 등으로 병원을 찾는 '온열질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오늘 15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 국립중앙의료원은 무더운 여름, 온열질환자가 증가하므로 건강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온열질환은 열 때문에 발생하는 응급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면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를 겪게 된다. 온열질환 상태에서 방치할 경우 생명이 위태로운 열사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 
 
복지부가 지난 5년(2011년~2015년) 간 응급의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매년 평균 1,128명 온열질환자가 내원하고 이중 240명이 입원(21%), 96명은 중환자(8.5%)였으며, 7월 하순~8월 초 피크를 보이다가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아와 노인은 발생빈도가 2배 이상 높아 온열질환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와 노인에 대해서는 더운 날일수록 주변에서 더 많은 관심과 배려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질본은 5월 23일부터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운영한 결과 3주 동안 65명 온열질환자가 신고됐고, 이 중 실외에서 54명(83.1%)으로 실내보다 4.9배 많이 발생했으며, 5년간 온열질환감시 결과 실외 발생이 평균 80%였으며 이중 실외작업장에서 26.9%, 논·밭에서 17.4%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같이 야외활동으로 인한 온열질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질본은 △폭염이 집중되는 낮 시간대(12~17시) 장시간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불가피하게 논·밭 혹은 건설업 등 야외근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하며 △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수분을 평소보다 많이 섭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질본 관계자는 "온열질환 증상이 발생한 경우 시원한 곳으로 이동해 옷을 벗겨 체온을 낮추고 의식이 있으면 전해질이 함유된 음료를 마시게 하며 두통, 어지러움 등 증상이 있는 경우 병원을 방문해 수액 치료를 받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