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비전e 김호성 기자] 경상북도 구미시는 한국을 디스플레이 강국으로 만든 TV의 도시다. LG전자 구미 사업장은 1975년 준공돼 연간 400만 대에 가까운 TV를 생산하며 세계 TV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LG전자는 지난 1966년국내업체 가운데 처음으로 흑백 TV를 내놓았다. LG전자가 개척한 TV의 역사는 올레드로 이어지고 있다.

  
 

LG전자는 2013년 초 55인치 올레드 TV를 출시하며 대형 올레드 TV를 양산하는데 성공했다. 시장조사기관 HIS는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올레드 TV 매출액이 매년 2배 이상씩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올레드 TV가 TV업계의 가장 큰 성장동력으로 자리를 잡았다는 의미다.

LG전자 구미사업장의 올레드 TV 생산 규모는 월 1만 대 수준이다. 구미사업장은 폴란드, 브라질, 멕시코, 중국, 베트남 등 올레드 TV를 생산하고 있는 전 세계 13개 국가 중 생산능력이 가장 크다. 구미에서 생산된 올레드 TV는 한국은 물론 일본, 아시아, 중동 등으로 팔려 나간다.

LG 올레드 TV는 현재 구미사업장의 A1동, A2동, A3동 등 3개 건물 가운데 A3동에서 생산되고 있다. A3동은 올레드 TV뿐만 아니라 LCD TV, 미니빔 TV, 모니터 등 홈엔터테이먼트 분야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다. LG전자는 A1동을 태양광 모듈 생산라인, A2동을 제품·부품 창고로 사용하고 있다.

A3동의 연면적은 12만6000㎡ 규모이다. A3동에는 4개의 TV생산라인을 포함해, 제품 시험 연구소, 자재 창고 등이 있다.

LG전자는 구미사업장에서 22인치부터 105인치까지 다양한 크기의 TV를 생산해 한국, 일본, 아랍에미리트 등 아시아·중등 지역 50여 국가로 수출한다. 구미사업장은 지난해 약 400만 대의 TV를 생산했다. LG전자는 지난해 하반기 TV 생산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장비, 생산공정 등을 추가로 도입했다.

A3동 1층에 들어가면 바닥이 흰색 타일로 되어 있는 생산라인이 눈에 뛴다. 작은 티끌이라도 흰색 타일에서는 더 잘 보이게 되는데, 항상 최상의 청결 상태를 유지해 생산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사전에 없애기 위해서다.

생산라인 근무자의 머리 위에 설치된 부품공급 전용 컨베이어 벨트도 눈길을 끈다. 이 컨베이어 벨트는 제품 케이스, 부품 등을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 생산라인 근무자의 옆이나 뒤에 부품들을 쌓아 둘 필요가 없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공정의 정밀도까지 높일 수 있다.

구미사업장은 프리미엄부터 보급형 제품까지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기 떄문에 제품 특성에 맞춰 팔레트(Pallete) 생산방식과 플로우(Flow) 생산방식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팔레트 생산방식은 각각의 팔레트에 올려진 제품을 생산라인 근무자가 확인한 후 다음 구간으로 넘기는 방식이다. 팔레트가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라인 근무자가 제품의 앞뒤, 양옆을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나 베젤이 얇은 사이니지 등 제품을 세운 상태에서 작업하기 편리한 경우에도 팔레트 방식을 사용한다.

플로우 생산방식은 컨베이어 벨트가 일정한 속도로 쉬지 않고 흘러가기 때문에 생산 속도가 빠르다. 플로우 생산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오류를 철저히 걸러내기 위해 자동화된 생산장비와 숙련된 인력이 필수적이다.

TV 생산공정은 나사를 조이는 것부터 포장에 이르기까지 모두 컴퓨터와 생산라인 근무자가 교대로 점검한다. 엔지니어가 TV의 생산공정을 설계해 컴퓨터에 입력하면 입력된 프로그램에 맞춰 자동화 장비가 TV를 조립한다. 생산라인 근무자는 모니터를 통해 공정상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면서 눈으로도 직접 제품을 살펴본다.

LG전자는 지난해 TV 업계에서 처음으로 자동 스크류 체결기를 도입했다. 엔지니어들은 TV의 설계도면을 컴퓨터에 입력할 때 나사가 삽입되는 위치를 좌표로 입력한다. 자동 스크류 체결기는 나사가 필요한 좌표를 인식하고 해당 위치에 필요한 나사를 찾아 6개의 로봇 팔로 힘과 각도를 조절해 나사를 조인다. TV 모델마다 나사의 종류와 삽입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정밀한 계산이 필요하다.

나사 조립이 끝나면 카메라가 조립된 제품을 스캔해 미세한 전선이나 나사 하나까지 설계도면과 비교해 누락된 부품이 없는지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생산라인 근무자가 직접 손으로 만지고 눈으로 확인한 후에 제품은 포장공정으로 넘어가게 된다.

포자공정에서는 근무자가 바코드 리더기를 이용해 리모컨, 외부기기 연결선, 제품 설명서까지 일일이 고유 넘버를 스캔한 후에 제품 박스에 담는다. 컴퓨터는 바코드가 확인되지 않은 구성품이 있으면 자동으로 오류를 알려주기 때문에 액세서리가 누락되지 않는다.

TV 생산라인은 G1라인부터 G4라인까지 퐁 4개다. 55인치 올레드 TV는 G3라인에서, 65인치과 77인치 올레드 TV는 G4라인에서 생산된다.

올레드 TV의 품질 검사는 가혹할 정도다. LG전자는 세계 1위 디스플레이 업체인 LG디스플레이가 품질검사를 마친 올레드 모듈에 방송 수신 회로, 외부기기 연결 회로, 케이스 등을 조립한 후 TV 세트로서의 품질검사를 시작한다.

140m 길이의 올레드 TV 생산라인은 조립공정, 품질검사공정, 포장공정이 각각 30m, 60m, 50m다. 품질검사공정이 조립공정의 두배나 된다.

LCD TV 생산라인은 플로우 방식과 팔레트 방식을 모두 쓰고 있는데 비해, 올레드 TV는 팔레트 방식으로만 생산된다. 팔레트 생산라인에서 올레드 TV를 생산하는 이유는 보다 철저한 품질검사를 위해서다.

다른 TV들과 달리 올레드 TV의 생산라인은 조립공정이 끝나면 팔래트가 90도 가량 돌아가기 때문에 생산라인 근무자가 측면부를 육안으로 검사하기 편리하다. 측면부를 확인하는 공정부터 충격검사, 자연색검사, 기능검사, 외관검사 등을 거치는 총 15분 동안 제품의 화면은 계속 켜져 있다. 이 시간 동안 생산라인 근무자는 해당 공정 외에도 화면의 색이 바뀌지는 않는지, 화면이 정상적으로 켜져 있는지, 색상이 균일한지 등 제품의 초기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한다.

구미사업장에서는 제품을 생산할 때마다 무작위로 제품을 뽑아 제품 검사를 진행한다. 같은 모델의 제품이라도 매번 생산될 때마다 검사를 받아야 한다.

올레드 TV는 일반적인 검사 외에도 올레드 TV 전용 시험실에서 별도의 검사를 받는다. 올레드 TV는 포장공정이 끝나면 제품창고로 옮겨지는데, 올레드 TV 전용 시험실은 그 창고 앞에 있다. 포장을 마친 올레드 TV를 다시 전용 시험실로 가져와 포장을 다시 뜯고 제품을 꺼내서 검사하기 위해서다.

포장된 상태의 제품을 다시 꺼내는 이유는 철저히 소비자 관점에서 제품을 살펴보기 위해서다. TV 설치 시에 박스를 개봉하고 제품을 꺼내 설치하는 데까지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충격까지도 철저히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기능 시험실은 1층과 2층에 각각 위치해 있고 검사 조건에 따라 상온 시험실, 고온 시험실, 음질 시험실 등으로 구분돼 있다.

1층과 2층에 있는 상온 시험실은 TV의 기능, 소비 전력 등을 점검한다. 가령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버전이 나오면 전원을 껐다 켜는 것부터 스마트 기능들까지 하나하나 구현하며 검사를 마치는 데는 나흘 정도 걸린다.

2층으로 올라가면 고온 시험실이 있다. 40도가 넘는 고온의 환경에서는 전자제품들의 수명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고온 시험실에서 모든 기능을 하나하나 확인한다. 신제품의 경우, 7일 밤낮을 꼬박 고온 시험실에서 품질 시험을 거쳐야 한다. 신제품이 아닌 기존 제품들도 생산될 때마다 무작위로 골라 한 달에 한 번씩은 반드시 고온 시험실에서 최대 168시간까지 품질 시험을 받아야 한다.

음질 시험실에서는 완벽히 밀폐된 공간 안에서 가장 큰 소리부터 음소거 직전의 가장 작은 소리까지 점검한다. 잡음은 물론, 소리의 크기에 상관없이 음색의 변화가 없는지 확인한다. 시청자들은 화질이 좋아지는 만큼 음질을 기대하기 때문 음질 또한 철저한 검사를 거친다.

TV/모니터생산FD담당 이병철 상무는 “프리미엄 TV란 단순히 가격이 높은 제품이 아니라 소비자가 기대하는 것 이상의 가치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며 “소비자들에게 프리미엄의 진정한 가치를 전할 수 있도록 품질과는 절대 타협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