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정권 반면교사, 정면돌파 결단내려야 -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을 둘러싼 의혹들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파도 파도 끝이 없다'는 세간의 표현이 갈수록 설득력을 얻는 상황이다.
느닷업이 총무비서관에서 제 1부속실장으로 자리를 옮긴 지 한 달여 지났지만, 오히려 논란의 불씨는 더욱 거세지는 모양새다.
이 논란의 핵심은 단순한 개인의 문제를 넘어, 대통령실 핵심 참모의 투명성과 권한 남용, 그리고 우리 국민들이 '측근 정치'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주고 있는 것이다.
가장 먼저 불거진 논란은 '국정감사 회피' 의혹이다. 김실장의 보직이 총무비서관에서 변경된 시점이 납득할 수 없는 것. 보호를 하면 할 수록 검증을 피하려는 '방탄 인사'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국정 운영의 핵심 관계자가 국회의 정당한 견제 기능을 의도적으로 회피하려 했다는 인상은 이미 국민 신뢰를 저버린 행태로 인식되고 있다.
더욱 깊은 우려를 낳는 점은 '비밀주의'와 '비선 실세' 논란이다. 이재명 대통령과 30년 가까이 함께 해온 핵심 측근임에도 불구하고, 김 실장의 구체적인 학력, 경력, 심지어는 사진조차 제대로 공개된 것이 없다.
여권 일부에서 전 정권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기 시작했다.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 최악의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는 위기가 감지된다. 자칫 내년 지방선거의 최대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포명한다.
과거 정권에서도 문제가 되었던 '문고리 권력'에 대한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시스템이 아닌 '사람'에 의한 통치라는 비판을 자초하는 것이다.
여기에 과거 활동의 이념적 성향 논란, 특정 인사 개입 의혹, 심지어는 전 경기도 부지사 사건 관련 개입 의혹까지 꼬리를 물고 있다. 대통령실은 대부분의 의혹을 일축하고 있지만, 결코 가볍게 볼 수 만은 절대없다.
결국, 김현지 부속실장 논란은 '투명성'과 '책임'의 문제다. 대통령의 가장 가까운 곳에서 국정을 보좌하는 핵심 인물일수록 더욱 높은 수준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제기되는 의혹에 대해 당당하게 소명할 책임이 있다는 것은 두 말할 나위도 없다.
'숨기려 할수록 더 많은 의혹이 커진다'는 정치의 기본 원리를 잊어서는 결코 안된다. 대통령실이 지금처럼 '철지난 정치적 프레임'이라며 반박하거나 보직 변경으로 논란을 덮으려는 시도를 계속하는 것은, 오히려 의혹에 무게를 더 할 뿐이다.
국민적 의혹이 '파도 파도 끝이 없다'고 느껴진다면, 대통령실 스스로가 이 의혹의 고리를 끊어낼 '정면 돌파'의 결단을 보여야 할 때다.
그렇지 않다면, 이 논란은 국정 동력을 지속적으로 잠식하는 '정권의 약한 고리'로 남을 수밖에 없을 것이 너무나 자명하다. <김창권 大記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