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 함께 잘사는 대안 모색해야 할 때

 “이제는 100세 시대다.” 이 말은 더 이상 과장이 아니다. 통계청의 기대수명 그래프는 매년 조금씩 오른다.  마치 시간의 저울이 우리에게 묻는 듯하다. “그렇게 오래 사는 세상을 맞을 준비가 되어 있는가?”

 하지만 문제는 단순히 오래 사는 데 있지 않다. 삶의 질, 사회적 안전망, 그리고 개인의 존엄성이 함께 보장되지 않는 장수는 축복이 아니라 부담이다. 이 지점에서 100세 시대는 자연스레 정치·사회적 의제가 된다.

 100세까지 산다는 것은 곧 연금, 의료, 주거, 돌봄 체계가 지금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은퇴 후 40년 가까운 삶을 개인의 사적 노력만으로 감당할 수는 없다. 장수 사회는 복지의 재정비를 강하게 요구한다.

 특히 의료와 요양 서비스는 단순한 혜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하지만 현실에서 노인 의료비 부담은 여전히 가족에게 전가되고, 요양시설의 질은 지역과 계층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복지의 보편성과 형평성을 둘러싼 정치적 논의가 본격화될 수밖에 없다. 장수 사회에서 더 이상 ‘60세 은퇴’는 현실적이지 않다. 40년을 무직 상태로 버틸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따라서 은퇴 이후에도 노동시장에 재진입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단순한 생계형 일자리뿐 아니라, 노년의 경험과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사회적·지적 일자리가 정책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경제적 자립은 단순히 돈의 문제가 아니라, 존엄과 자아실현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100세까지 사는 동안 가장 큰 적은 ‘질병’이 아니라 ‘고립’일 수 있다. 친구와 가족이 떠난 뒤 홀로 남겨진 긴 세월은 외로운 감옥이 될 가능성이 크다.

 정책은 의료와 경제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망의 회복까지 고민해야 한다. 마을 단위 돌봄 체계, 평생 교육, 세대 간 교류 프로그램이 필요한 이유다.  장수 사회에서 공동체는 선택이 아니라 생존 전략이다.

 결국 100세 시대의 질문은 정치의 책임으로 귀결된다. 복지 재정, 일자리 정책, 지역 공동체, 연금 개혁까지 모두 정치적 의사결정 없이는 움직이지 않는다. 100세 시대는 단순히 개인의 건강관리 캠페인이 아니라, 국가와 사회의 시스템을 재설계하는 프로젝트다.

 정치가 여기에 응답하지 못한다면, 장수는 개인에게만 전가되는 고통이 될 것이다.

 100세까지 산다는 것은 시간의 선물이자 사회적 과제다. 복지, 노동, 공동체, 정치 모두가 장수의 무게를 함께 떠안을 때, 비로소 그 시간은 축복이 될 수 있다.  우리는 지금, 단순히 오래 사는 법이 아니라 함께 잘 사는 법을 배워야 한다. <김창권 大記者>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