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미국의 관세 압박이 거세지는 가운데,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일상 소비재에 적용되는 상품 및 서비스세(GST)를 대폭 인하해 국민들의 세금 부담을 줄이고 내수를 진작시키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AFP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지속을 문제 삼으며 인도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25%에서 50%로 인상하겠다고 경고했다. 워싱턴은 뉴델리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 자금줄 역할을 하고 있다고 비난하고 있으며, 이번 조치로 인해 인도 경제의 수출 주문 급감과 고용 악화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뉴델리 정부는 미국의 관세 위협을 “불공정하고 불합리하다”고 비판하면서도 충격을 완화할 완충책을 모색 중이다. 이번 개혁안은 현행 4단계(5%~28%)의 복잡한 GST 세율을 5%와 18% 두 단계로 단순화하는 내용으로, 소형차와 에어컨 등 주요 소비재 가격을 낮추는 효과가 기대된다. 전문가들은 이 개혁으로 정부 세수가 130억~170억 달러 줄어들 수 있다고 전망하지만, 동시에 소비 촉진과 중산층의 지출 여력 확대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디팬슈 모한 경제학자는 “여론의 초점은 트럼프의 관세 위협과 미·인 관계 악화에 맞춰져 있다”며 “모디 총리는 GST 개혁을 통해 중산층에 정부가 이익을 보호하겠다는 메시지를 던졌다”고 평가했다. 다만 그는 “이 조치가 동시에 인도 경제가 오랫동안 저소득 중산층을 충분히 지원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드러낸다”고 지적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만약 양국이 협상에서 타협에 이르지 못할 경우, 미국의 고율 관세로 인해 인도의 올해 회계연도 GDP 성장률이 6%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한다. 이는 인도 중앙은행의 기존 전망치인 6.5%보다 낮은 수준이다.

한편, 무역 데이터 기업 Kpler는 대부분의 8월 러시아산 원유 수입 계약이 이미 체결된 상태라고 분석했다. 인도 정유사들이 미국·서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산 원유로 다변화를 시도하는 모습이 감지되지만, 이는 전략적 전환이라기보다는 단기적 유연성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오는 8월 27일 미국의 최종 관세 발효 시한이 다가오면서, 미국과 인도가 마지막 순간에 협상을 타결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이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