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분없는 정치적 선택, 보은인사 곱씹어봐야---

이재명대통령 지지율이 취임 100일을 채 넘기기도 전에 급격히 하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18일 모 여론조사기관이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대통령의 국정 수행 긍정 평가는 51.1%로 2주 전보다 12%포인트 이상 하락했다. 취임 초반 70%에 가까운 지지율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단기간 내 상당한 폭의 조정이 이뤄진 셈이다.
문제는 조국, 윤미향 사면과 복권, 정청래 대표 강성 행보 등에 따른 일시적인 피로감인지 아니면 중도층 이탈로 인한 구조적이고 장기적인 변화의 신호탄 인지 지금 시점에서는 판단 유보 시선이 강하다는 것.
정치권 일각에서는 “브레이크 없는 추락”이라는 표현까지 등장하지만, 냉정히 들여다 보면 상황은 그 보다는 더 복합적이다.
특검이 가동되는 상황에서 예기치 않은 지지율 하락은 이재명 정부가 출범 초기의 높은 기대수준을 어떻게 관리하고 있느냐에 대한 국민적 평가일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몇 가지 뚜렷한 요인이 꼽힌다. 첫째는 모두에서 언급된 광복절 특별사면이다. 명분 없는 정치적 선택에 대해 2030세대를 중심으로 도덕적 불신이 높아진 것이다. 두번째는 주식 양도소득세 부과 정책이다. 자산시장에 민감한 40~50대 직장인과 투자자들이 실망을 표출하며 이탈이 가속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이 대통령의 공직선거법, 대장동, 대북송금 관련 사건을 맡았던 변호사 13명이 대거 정부요직에 임명된 이른바 '보은인사' 논란도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시각이다.
헌정사상 처음으로 전직 대통령 부부 구속 수감도 야권 성향의 중도층에서 지지율 하락의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지금 상황을 단순히 “지지율이 떨어졌다”며 일희일비 할 필요는 없다는 의견도 대두된다. 대통령 지지율은 본래 민감한 이슈에 따라 유동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어느 정부든 초기 높은 기대감 이후에는 현실적인 정책 충돌, 이해관계 조정, 메시지 실수 등이 겹치며 일정 부분 하락을 겪는다.
중요한 것은 하락 자체가 아니라, 그에 대한 대응 방식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속도 조절과 소통 방식의 재정비다. 강력한 추진력으로 평가받았던 초반 드라이브가 국민과의 거리감을 벌려왔다면, 이제는 강온전략 구사와 다양한 세대, 계층의 목소리에 보다 세심하게 귀를 기울여야 한다.
높은 지지율로 시작한 정부일수록 초반의 하락은 정치적으로 뼈아플 수 있지만, 현재 형국은 나락으로 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다만 국민의 힘 지지율이 36.7%포인트로 민주당의 39.9%포인트에 근접한 대목은 곱씹봐야 한다.
국정 지지율은 국민의 기대 수준을 반영하는 바로미터다. 경고음이 울린 것은 분명해보인다. 이 시그널을 일시적인 현상으로 넘길지, 정책과 국정운영 방식에 대한 재점검의 계기로 삼을지 그것은 전적으로 이재명 대통령의 몫이다. <김창권 大記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