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관 후보자 한사람의 사퇴는 때때로 정권 전체의 민심 향방을 좌우한다. 강선우 사례가 바로 그렇다.
아주 사소한 것에서 시작된 작은 불씨는, 결국 정권의 도덕성과 위기 대응 능력에 대한 불신으로 번졌다. 그리고 그녀는 23일 오후 뒤늦게 스스로 물러났지만, 이미 타이밍은 놓친 후였다.
정치에는 ‘골든 타임’이 있다. 사과와 책임, 해명과 결단은 아무리 옳더라도 때를 놓치면 무의미한 결과가 된다.
의혹이 불거진 직후, 즉각적인 해명과 유감 표명이 있었다면, 사퇴까지 가지 않았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혹은 신속한 사퇴가 오히려 지도부의 정치적 부담을 덜어주는 해법이 되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강 후보자와 여권은 뒤끊는 여론을 무시한채 결정적 시간을 흘려보냈다.
보좌진이 개인 쓰레기, 심지어 치킨 뼈까지 처리했다는 폭로는, 사실 여부를 떠나 대중의 심리를 건드렸다. 특히 이재명대통령에게 우호적인 지지를 보내온 중도성향의 지지자들까지 눈을 돌리는 상황을 맞게된 것이다.
이쯤에서 ‘공복(公僕)’은 어디까지가 공적 노동이고 어디부터가 사적 심부름인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공직자는 자신의 사적 공간에서도 공적 윤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당위는, 민주사회에서 기본이다. 정치적 신뢰는 바로 이런 '작은 권력의 사용 방식'에서 무너진다.
더 큰 문제는 여권의 대응이었다. 애매한 해명, 늦은 입장, 책임 회피에 가까운 기류. 이것은 단지 한 사람의 도덕성 논란을 넘어서, 정권 전체가 위기를 감지하지 못했다는 메시지로 해석됐다. 국정 운영의 신뢰도가 흔들리는 이유다.
정치는 감각의 예술이다. 위기의 타이밍에 냉정하게 판단하고, 여론의 흐름을 재빠르게 읽으며, 사과와 결단을 적시에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이재명 정부는 이번 사건에서 그러한 감각을 발휘하지 못했다.
강선우 후보자의 사퇴는 결국 이루어졌지만, 이미 ‘상처 난 사과’는 유권자의 마음을 돌리기 어렵다.
이제 과제는 분명하다. 대통령실과 여권은 단지 인선을 바꾸는 수준이 아니라, 위기 대응 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 진정성 없는 ‘꼬리 자르기’로 보인다면, 다음 위기 때는 더 큰 정치적 비용을 지불하게 될 것이다.
국민의 분노에 의한 강선우의 타율적 퇴진은 분명 끝이 아니다. 이제 또 다른 시작일지 모른다.<김창권 대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