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철이 없는 사람을 '철부지'라고 부른다. 

철부지는 원래 '철不知'라고 쓴다. '철을 알지 못한다' 는 뜻 이다. 

철부지(不知)사전적 의미는 철이 아직 덜 들었거나 아직 세상물정 등을 모르는 사람을 비꼬며 부르는 말이다.

그렇다면 철이란 무엇인가? 사시사철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변화를 알아채지 못하는 사람이 철부지인 것이다. 

다시 말하면 '때'(타이밍)를 모른다는 말이다. 세상의 흐름과 판세를 안 오른다는 의미다.  

'Time and tide wait for no man'이라는 속담이 있다. 시간과 변화의 불가피함을 강조하고 있지먀 제때에 그에  상응한 일을  해야 하는 타이밍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봄이 오면 밭을 갈아 씨를 뿌리고, 
여름에는 땀을 흘리면서 김을 매고, 
가을에는 열매를 수확하고 
겨울에는 월동을 하기 위해서 창고에 저장해야 한다. 

철을 모르는 사람은 땅이 꽁꽁 얼어붙은 엄동설한에 씨를 뿌리려고 들판에 나가는 사람이다. 

눈밭에 씨를 뿌리면 싹이 나올리 없다. 가을이 되어서 수확을 해야 하는데, 철을 모르면 수확을 할 줄 몰라서 열매가 땅에 떨어져 썩어 버린다.

이렇게 설명하면 쉽지만, 사실 자기 인생 사이클에서 철을 정확하게 짚어내기란 상당히 어려운 문제이다. 

그래서 겨울 다음에는 반드시 봄이 온다는 사실, 자연의 섭리이자 인생살이 기복을 아는 사람은 기다린다. 

그래서 철을 모르면 기다리지 못한다. 철을 알고 모르고의 차이는 엄청나게 크다.

어떤 인생은 태어나자마자 봄부터 어떤이는 가을부터 때로는 겨울부터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 

부잣집 아들로 태어나 부모가 물려준 빌딩의 임대료 부터 받기 시작하면 과일부터 따 먹는 셈이다.

흥청망청 청년기를 보내면 대개는 주색잡기(酒色雜技)로 흐르기 마련이고, 패가망신(敗家亡身)이라고 하는 엄동설한이 다음 코스로 기다리고 있다. 

반대로 겨울부터 시작하는 사람은 조실부모(早失父母)하고 신문배달과  자장면 배달부터 시작하지만, 
시간이 가면 새싹이 돋아나는 봄을 맞는다. 

자기가 처해진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상황을 접하게 되면 미래를 위해 오늘을 성실하게 대하게 마련이다.

그래서 철을 알면 기다릴 줄 안다. 전반적인 흐름을 알기 때문이다.

겨울 다음에는 반드시 봄이 온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기다린다. 

철을 모르면 기다리지 못한다. 철을 알고 모르고의 차이는 엄청나게 크다.

진단만 정확하면  그 사람 인생의 철을 알게되서  절반은 이미 성공한 사람이다.

살아보니까 진단 하기도 어렵고, 
제대로 된 정확한 진단을 받아 보기는 정말 어렵다. 

자기 진단을 할 줄 아는 사람이 바로 철든 사람이고,  옆에서  진단을 내려 주는 사람이 자기 인생의  스승(멘토ㆍ책사)다. 

"Make hay while the sun shines"

직역하면 태양이 빛나는 동안 건초를 만들어라. 이른바 철을 알고 타이밍을 잡아 기회를  활용해라는  뜻이다.  

뉴스비전 데스크

정리 송명은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