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의원(사진 오른쪽)과 강선우 여성가족부장관 후보자
정청래의원(사진 오른쪽)과 강선우 여성가족부장관 후보자

정치의 기본은 공정함이다. 적어도 책임 있는 공직을 맡은 사람이라면, 논란이 된 사안에서 섣부른 감정적 개입보다는 사태의 진상을 냉정하게 바라보고, 피해자와 국민의 목소리를 경청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강선우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를 향해 내놓은 공개 지지 발언은 그 기준에서 한참 벗어난다.

 정 의원은 지난 15일 자신의 SNS강선우 곧 장관님, 힘내시라. 발달장애 딸 키우는 엄마의 심정 이해한다는 글을 올렸다. 당 지도부 일원으로서 사실상 강 후보자에 대한 엄호를 스스로 자처한 셈이다.

 문제는 이 발언이 현재 강 후보자를 둘러싼 보좌진 갑질 의혹과 전혀 무관한 영역에서 감정에 호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과거 국회의원 시절 보좌진을 상대로 폭언과 부당한 업무 지시를 했다는 주장이 제기된 상태다. 피해를 호소한 전 보좌진들의 증언과 구체적인 정황도 공개됐다. 국민 눈높이를 떠나 여론도 극도로 악화된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정 의원의 발언은 피해자들이 아직 존재하고, 진실이 가려지지 않은 상황을 무시한 채, 단순히 힘내라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 된다.

 누군가를 감싸는 행위는 곧 다른 누군가를 외면하게 되는 결과를 낳는다. 특히 그 누군가가 힘없는 약자일 때 더 큰 문제가 된다.

 게다가 정치 지도자는 개인적 연민을 공적 판단에 섞어선 절대 안 된다. 발달장애 자녀를 키운다는 사적 서사는 당연히 존중받아야 하지만, 그것이 보좌진 갑질 의혹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나? 그렇지 않다.

 오히려 나도 약자이니 나의 과오도 이해해 달라는 식의 논리가 되어버리면, 사회적 약자 보호의 원칙 자체가 퇴색될 위험이 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당 지도부가 피해자 목소리를 외면한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민주당의 핵심 지지층 중 하나인 보좌진 사회의 사기마저 꺾이고 있다.

 민보협회장이 이례적으로 성명을 내고 사퇴를 촉구하기도 했다.

 이건 단순한 정치적 실수가 아니다. 정청래 의원의 이번 발언은 민주당이 스스로 약속한 공정과 약자 보호의 원칙을 송두리째 뒤흔든 것이다.

 정치인은 때로는 동료를 감싸야 할 때도 있다. 하지만 그보다 앞서야 할 것은 진상 규명과 피해자 보호라는 공적 책임이다.

 지금 필요한 건 힘내라는 감정적 위로가 아니라, 공정한 조사와 피해자 목소리에 대한 존중이다. 정청래 의원은 스스로에게 묻길 바란다. 정치가 감정의 영역에 머물러도 괜찮은가?

 특히 정청래의원이 오는 82일 있을 민주당 대표 경선후보로 나선 상황이다. 독선적이고 전형적인 내로남불 모습으로는 국민을 설득할 수 없다. 이번 강선우 후보자에 대한 감싸기 처신은 아무리 생각해도 부적절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김창권 대기자>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