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정보를 끊임없이 받아들이는 리더는 눈과 귀가 언제나 열려있다.
늘 새로운 정보를 찾는 사람은 익숙함으로부터 탈출해야 한다.
내가 알고 있는 정보는 시간, 공간, 아집에 구속되어 있지 않은지 부단히 살펴야 한다.
<장자>의 추수(秋水)편에 나오는 얘기를 살펴보자. 중국 황하의 신(神) 하백이 있었다.
그는 끝없이 펼쳐진 황하를 보고는 세상의 모든 아름다움이 자신에게 있다고 생각하며 매우 흡족해했다.
그런데, 하백이 물의 흐름을 따라 동쪽으로 흘러가서 북해바다에 이르러 끝없이 펼쳐진 바다의 모습을 보았다.
물의 끝을 볼 수가 없는 하백은 엄청난 충격에 빠졌다.
세상에서 자신이 가장 크고 아름다운 줄 알았는데, 자신보다 더한 바다의 모습을 보고 경악을 한 것이다.
그는 얼굴을 돌려 멍한 눈으로 북해의 신(神) 약(若)을 바라보고 탄식하며 말했다.
"세간의 속담에 이르기를 '도(道)에 대해 조금 들었다고 세상에 나만한 사람이 없다고 우쭐댄다' 라고 했는데 바로
나 같은 사람을 두고
한 말입니다.
내가 당신의 문(門)에 이르지 않았던들 위태로울 뻔했습니다. 나는 하마터면 대도(大道)를 깨달은 사람에게 길이 비웃음을 당할 뻔했습니다."
그러자 북해 약은 하백에게 세 가지 충고를 해준다.
"첫째, 우물 안 개구리에게 바다에 관해 이야기해줄 수 없는 것은 자신이 머무는 곳에만 얽혀있기 때문입니다.
둘째, 여름 버러지에게 얼음에 관한 이야기를 해줄 수 없는 것은 자신이 사는 때에만 얽매여 있기 때문이며, 한여름만 살다 가는 여름 곤충은 찬 얼음을 알지 못합니다.
셋째, 편협한 지식인에게는 진정한 도의 세계를 설명해줄 수 없는 것은 자기가 알고 있는 지식에 속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개구리는 우물이라는 공간에 갇혀 있기 때문이며, 곤충은 자신이 살아 있는 여름이라는 시간만 알고 있기 때문이고, 지식인은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에 묶여 있기 때문이다.
장자는 이 이야기를 통해 세 가지 한계를 파괴하라고 충고한다.
자신이 속해 있는 공간(space)을 파괴하고, 자신이 살아가는 시간(time)을 파괴하며,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knowledge)을 파괴하라는 것이다.
오늘날 세계적 경영학자 조지프 슘페터가 말하는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에서 그 의미를 엿볼 수 있겠다.
우리는 이 세 가지 덫에 걸려 있는 경우가 많다.
공간의 덫, 시간의 덫, 지식의 덫에 걸려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여 승자로 남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정보의 세상에 살고 있다.
내가 집착하고 있는 공간과 시간과 정보에 구속되지 말고 부단히 정보의 바다에서 놀고 여행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
윤금영 칼럼니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