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인간만사새옹지마(人間萬事塞翁馬)라는 말이 있다.

어느 것이 참다운 복이 되고 화가 되는것인지 알 수 없는 세상일을 가리켜 새옹지마(塞翁之馬)라 말한다.

새옹(塞翁)은 북쪽 변방에 사는 늙은이란 뜻이다.

동 구절은 出典 : 《淮南子, (人間訓)》 회담자, 인간훈에 나온다.

이 유명한 이야기의 줄거리를 여기 인용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북방 국경 가까이에 점을 잘 치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하루는 말이 아무 까닭도 없이 도망쳐 오랑캐들이 사는 국경 너머로 들어가 버렸다.

마을 사람들이 찾아와 동정을하며 위로를 하자、이 집주인 늙은이는, 「이것이 어찌 복이 될 줄 알겠소」하고 조금도 걱정하는 기색이 없었다.

그럭저럭 몇 달이 지났는데 하루는 뜻밖에 도망했던 말이 오랑캐의 좋은 말을 한 필 끌고 돌아왔다.

마을 사람들은 모두 몰려와서 횡재를 했다면서 축하를 했다. 

그러자 그 영감은 또, 「그것이 어떻게 화가 되라는 법이 없겠소」하고 조금도 기뻐하는 기색이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 집에 좋은 말이 하나 더 생기자, 전부터 말타기를 좋아했던 주인의 아들이 데리고 온 호마를 타고 들판으로 마구 돌아다니다、

그만 말에서떨어져 넓적다리를 다치고 말았다.

사람들은 또 몰려와서 아들이 병신이 된 데 대해 안타까워하는 인사를 보냈다.

그러자 영감은 「그것이 복이 될 줄 누가 알겠소」하고 담담한 표정이었다.

그럭저럭 1년이 되자 오랑캐들이 국경을 넘어 대규모의 침략을 감행해 들어왔다.

장정들은 일제히 활을 들고 나가 적과 싸웠다.

그리하여 국경 근처의 사람들이 열에 아홉은 전쟁으로 모두 죽게 되었는데 유독 이 영감의 아들만은 다리 병신이라서 부자가 함께 무사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복이 화가 되고, 화가 복이 되어 변화가, 끝이 없고 그 깊이를 헤아릴 수가 없다고 회남자는 '결론을 맺고 있었다. 

여기에서 예측할 수 없는 길흉화복을 비유해서, 또 눈앞의 이해득실에 웃었다 울었다 할 필요가 없다는 뜻으로 「새옹지마」란 말을 쓰게 되었다.

오늘에 흥(興)과 화(禍)가 또다른 변화의 시작이 될수 있다는 것이다.

곡우절기에 건강과 심신단련의 소중한 시간되시기바랍니다.

공주대학교 행정학박사 연구교수
글로컬 커뮤니티연구소 소장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