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현재 대한민국은 1950년 전쟁 후 폐허에서 세계 10대 경제 강국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부강한 한국을 미래 세대에 물려주기 위해서는 반드시  도전과 혁신이 절실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가정신'이 필요하다. 혹자는 기업가 정신을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힘’으로 정의했다. 특히 과학 기술 혁신이 요구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더욱 기업가정신이 더 확산해야 한다.

국가의 미래 운명을 죄우할 반도체 전쟁에서 살아 남으려면 많은  인재가 필요하다. 우수 인재 양성이 시급한 상황이다.  문제는 반도체학과에  최고로 우수한 인재가 몰려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이른바 의대 갈 실력의 인재들이 반도체를 비롯해 첨단 기술(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바이오 등) 을 요구하는 공과대학으로 몰려야 한다. 그런데  현실은 정반대로 가고 있다는  점이다. 

문제는 현재  고소득 측면에서  ‘전문직 종사자 업종별 사업소득 현황’을 보면 명확해 진다. 

의사 직종의 연 소득이 2021년 기준 1명당 평균 2억6900만원으로 전문직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년 전과 비교한 소득 증가폭도 전문직 중 1위였다.

의료업 종사자의 1명당 평균 사업소득은 전체 전문직 9개 업종 중 부동의 1위다. 2017년 대비 2021년 사업소득 증가율도 28.7%로 가장 컸다. 같은 기간 변호사업 종사자의 1명당 평균 사업소득이 1.7%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전문직 중에선 회계사(업) 2021년 1명당 평균 사업소득이 1억1800만원으로 의료업 다음으로 많았다. 이어 변호사업(1억1500만원), 변리사업(9300만원), 세무사업(8100만원), 관세사업(6400만원), 법무사업(4800만원), 건축사업(4300만원), 감정평가사업(2800만원)이 뒤를 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국가경쟁력 제고 및 성장 동력  측면에서 결코 바람직  하지 않은 추세이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오는 2031년 국내 반도체 인력 규모는 30만4000명으로 증가하지만 2021년 기준 반도체 인력 규모는 17만7000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하지만 매년 대학이나 대학원 등에서 배출되는 반도체 산업 인력은 5000명 이하 수준이다. 이 같은 수준이 지속될 경우 2031년에는 무려 5만4000명의 인력이 부족할 전망이다.

반도체산업 전문가들은 과거 미국이나 유럽, 일본이 반도체 제조를 포기했던 것은 인재부족 탓이었다고 진단하고 있다. 미래 반도체 산업의 주도권 유지를 위해 반도체 고급 인력 양성을 위해  국가적 역량을 총집결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반도체학과에 의대 갈 실력의 인재들이 몰려야 한다. 그러나 추진 검토 중인 의대 정원 확대로  최상위 인재들이 의대로 더 쏠리면 국내 반도체 산업은 위기에 봉착 될 확률이 크다는 지적이다. 불가피하게 핵심 인력을 외국인으로 채워야만 반도체 산업이 유지 된다는 결론이다. 결국 반도체 산업에서 경쟁력을 잃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의대 정원 확대는 단순히 의료 인력 확충 차원에서만 검토 할 문제가 아니다.  전반적인 국가 발전 로드맵을 놓고 무엇이 국가 경쟁력을 높히고 4차산업혁명 시대에 우리가 지향해야 할 방향부터 잡는 지혜가 필요하다. 

최규현 기자 kh.choi@nvp.co.kr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