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기반 DID 서비스 이니셜

지난 8월 16일 SK텔레콤은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식별자(DID) 서비스 ‘이니셜’ 앱에 ‘디지털 신기술 인재 양성 혁신공유대학’ 교육과정을 수강하는 학생을 위한 모바일 학생증 서비스를 추가했다고 밝혔다.
‘디지털 혁신공유대학’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2021년 대학‧학과별로 고정된 정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신기술 분야의 전문가 10만명을 양성하겠다는 목표로 시작한 사업이다.
이 사업에 참여하는 서울대‧전남대‧부산대 등 전국 46개 대학이 인공지능(AI)‧빅데이터‧바이오헬스 등 8개 분야에서 온‧오프라인 교육과정 등 인적‧물적 자원을 공유한다.
공유 교육과정을 수강하는 학생은 재학 중인 학교 외에도 다른 사업 참여 대학의 수업을 자유롭게 들을 수 있다.
지금까지는 각 참여 대학의 온라인 행정 시스템이 달라 다른 대학 시스템에 접속하려면 임시 학번을 발급받아야 했다.
하지만 이번 서비스 추가로 이니셜 앱에서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모바일 학생증을 발급하고 QR코드를 스캔하는 방식으로 DID 로그인만 하면 대학 시스템에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게 됐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SK텔레콤은 9월 달부터는 이니셜 앱뿐 아니라 PASS(패스)나 삼성페이 등을 통해서도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모바일 학생증 발급과 로그인이 가능하게 할 예정이다.
아울러 디지털 혁신공유대학을 시작으로 지역거점 대학을 비롯한 전국 대학에서 블록체인 DID 기반 모바일 학생증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오세현 SKT 디지털 에셋 CO(컴퍼니)담당은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모바일 학생증 서비스를 통해 교육 분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전환)을 이끌겠다.”며 “AI 서비스 컴퍼니로 진화 중인 SKT는 앞으로도 블록체인 기반 DID를 활용한 국민 편의 서비스를 지속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SKT, ‘인공지능(AI) 로봇 물류’ 분야 사업 본격 추진
- SKT, 1분기 실적 발표···매출·영업이익 각각 7.4%·29%↑
- SKT, 용인세브란스병원과 5G 복합방역 로봇 세계 최초 상용화
- SKT, 전화 한 통으로 웹사이트 연결되는 ‘다이얼링크’ 출시
- 오세훈 "원전 문건 'v'는 VIP", 與 "V3는 안철수 세번인가?"
- SKT, 플립형 폴더블 '갤럭시 Z 플립' 판매
- SKT, ‘5GX 100만 카운트다운’ 돌입...고객 혜택도 풍성
- SKT, 사내 벤처 프로그램 ‘스타트앳’에 구성원 펀딩 도입
- SKT, 빅데이터 기술로 보이스피싱 피해 막는다
- SKT, 유투브서 채용설명회 'T 커리어 라이브' 개최
- SK텔레콤의 ‘양자암호원칩’ 국정원 암호모듈검증 통과
- SK텔레콤, 5G 토종기술 해외 수출길 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