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등 주요 석탄 소비국 합의 안 해 실효성 의문

글래스고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COP26)에서 40개 국가가 2040년까지 석탄발전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기로 합의했지만, 미국 등 주요 석탄 소비국이 동의하지 않아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6일 일본 경제매체 닛케이 신문에 따르면 COP26에서 선진국은 2030년까지, 세계는 2040년까지 석탄화력 발전을 폐지하는 내용을 담은 성명이 발표됐다.
알록 샤르마(Alok Sharma) COP26 의장은 처음 선언한 23개국을 포함해 모두 46개 국가가 찬성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미국, 중국, 인도, 일본 등 주요 석탄 소비국은 동의하지 않았다. 미국 일부 주가 동의했고 석탄 생산국인 우크라이나 외에 한국,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도 석탄화력 발전을 점진적으로 폐기하기로 약속했다.
국가와 지역 및 기업 등으로 구성한 ‘탈석탄동맹(PPCA)’은 우크라이나 등 7개국이 가입해 회원국이 48개로 늘었다고 발표했다. 일본은 가입하지 않았고, 싱가포르가 아시아 국가 중 최초로 가입했다. 석탄은 싱가포르 전력 공급원 1.2%에 불과하며 천연가스 발전이 95% 이상을 차지한다.
주요 7개국(G7) 중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등은 2030년까지 석탄화력 발전을 중단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앞서 독일은 2038년 석탄화력 발전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했지만, 2030년까지 석탄화력 발전을 추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미국은 2035년까지 전력 시스템의 ‘탈탄소‘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탄광을 보유한 미국과 독일은 전력 20% 이상을 석탄화력에 의존한다. 독일은 석탄화력 발전 중단에 일정한 자금을 전력업체에 지원해 광산 폐쇄 등을 유도하고 있다.
현재 일본의 석탄화력 발전 비율은 약 30%로 2030년까지 20%로 낮아지리라 예상되지만 석탄화력을 중단하겠다는 목표는 세우지 않았다. 이는 원전 재가동에 진전이 없고 재생에너지 도입이 상대적으로 더디기 때문이다.
조성영 기자 chosy@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