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비전e 이진구 기자] SK텔레콤이 SK서울캠퍼스 개방 이어 ‘IoT 오픈하우스’ 열고, 서비스 기획부터 상용화까지 전단계 지원하며 IoT 생태계 육성에 나선다.
SK텔레콤은 IoT 관련 벤처·스타트업들이 서비스의 기획부터 기술 및 제품의 개발, 상용화까지 토털 솔루션을 지원하는 ‘IoT 오픈하우스’를 분당구 수내동에 열었다고 19일 밝혔다.
■ ‘A부터 Z까지’ 벤처 지원 ‘IoT 오픈하우스’
‘IoT 오픈하우스’는 135㎡ 규모로, 회의실과 단말 개발 및 테스트룸, 교육장 등을 갖추고 컨설팅과 품질검증지원 등을 위한 전문인력이 상주하며 기술 및 상용화 역량이 부족한 개발업체를 지원한다.
이는 벤처·스타트업체들의 IoT 분야 도전과 이를 통한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순히 개발 중인 기기의 네트워크 연동 테스트를 돕는 수준을 넘어 아이디어나 기획 단계부터 벤처업체별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업계의 요청에 따른 것이다.
SK텔레콤은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무장한 벤처업체들이 ‘IoT 오픈하우스’를 통해 기존에 없던 새로운 상품들을 선보이며 IoT 생태계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했다. SK텔레콤은 오픈하우스를 통해 연간50개 이상의 서비스가 상용화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벤처·스타트업의 디바이스 개발 및 네트워크·IoT 플랫폼 연동을 위한 기술 지원을 위해 ICT 업체인 ‘위즈네트’를 선정해 업체 지원 인력을 확보하고, ‘IoT 오픈하우스’ 공간을 해당 업체의 사무실 내에 조성해 지원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IoT 오픈하우스’는 SK텔레콤의 IoT 전용망과 연동 테스트를 진행 중인 7개 벤처·스타트업의 9개 제품 상용화는 물론 우수한 IoT 아이디어를 가진 벤처업체들의 선발에 나선다.
IoT분야에 적용시킬 새로운 아이디어나 사업방안을 가진 벤처·스타트업은 SK텔레콤의 IoT홈페이지를 통해 지원하면 된다. SK텔레콤은 오픈하우스 운영자 및 사업화 담당자 등으로 구성된 협의체를 통해 아이디어, 사업규모, 상용화 일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지원 업체를 선정한다.
IoT 분야에 관심을 가진 업체들을 위한 교육도 진행한다. 교육은 분기마다 1회씩 정기적으로 실시되며, 교육과정은 IoT산업 및 기술의 이해, 단말 기술, 플랫폼 기술 및 사업화 사례 등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교육은 4월 말에 실시할 예정이며, 자세한 사항은 IoT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공공분야 IoT 확산 위한 ‘공익용 IoT 요금제’ 검토
‘IoT 오픈하우스’의 개소를 통한 벤처·스타트업 지원에 앞서 SK텔레콤은 지난 17일에는 미래창조과학부 주관 ICT정책해우소에 참여해 공공분야 서비스에서 더 많은 국민들이 Io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미래창조과학부와 ‘공익용 IoT 요금제’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의 ‘공익용 IoT 요금제’는 IoT 전용망인 ‘로라(LoRa)’를 활용한 안전·복지 관련 IoT 서비스를 기존 대비 저렴하게 제공해 공공분야에서 보다 쉽게 IoT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검토 중인 공공 서비스는 어린이나 치매·독거노인 대상 응급 알림서비스, 사고 빈도가 높은 공공 시설물에 대한 모니터링 및 알람 서비스, 공영 주차장 관리 서비스 등이다.
■ 개발자들에 정보 공유 및 상담 위한 포럼 개최
IoT에 관심을 가진 개발자들을 위한 자리도 마련됐다.
SK텔레콤은 지난 16일 을지로 사옥에서 ‘2017 사물인터넷’을 주제로 SK텔레콤과 글로벌 사업자들의 IoT 산업 현황과 SK텔레콤의 IoT 플랫폼인 ‘씽플러그(ThingPlug)’를 활용한 IoT 서비스 개발 및 분석 방안 등을 소개하는 ‘T 데브 포럼(T dev forum)’을 개최했다.
‘T 데브 포럼’은 단순히 산업 현황과 사례를 소개하는 것 이외에도 실제로 IoT 관련 사업을 검토 중인 참가자들을 위한 사업 상담 및 기술 지원을 위한 부스도 운영됐다.
SK텔레콤은 이날 포럼에 500명 이상의 개발자들이 참석하는 등 IoT 분야에 대한 개발자들의 높은 관심을 확인했다며, 적극적인 지원과 협업을 통해 IoT 기반의 New ICT 생태계 조성과 육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SK텔레콤의 IoT 전용망 파트너는 1월말 기준 국내 최대 규모인 800개사, 개인회원 2000여명으로, 이는 작년 7월 IoT 전용망 선포식 당시의 150개사에서 크게 성장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동 사업 기회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다.
또한, IoT의 핵심 분야 중 하나인 스마트홈에서도 60여 주요 제조사들과 손을 잡고 70개 이상의 제품을 시판 중인 것은 물론, 국내 주요 건설사들과의 제휴 계약을 통해 IoT 생태계를 확장 중이다.
SK텔레콤 차인혁 IoT사업부문장은 “SK텔레콤은 IoT 산업이 스타트업이나 벤처업체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서 성장해 나가길 바란다”며, “New ICT의 핵심 분야인 IoT가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SKT, 수중 통신망 핵심 설계기술 확보..."국내 최초 바닷속에서도 원활한 통신 가능"
- "T맵’으로 아파트 ‘동’까지 찾는다"...SKT, 행자부와 내비게이션 검색단위 정밀화 착수
- SK텔레콤 5G 로밍 기술, NGMN(차세대 모바일 네트워크 연합) 연구 과제로 채택
- SK텔레콤, 1인가구 안전 지킴이 ‘Tn안심’ 출시
- 박정호 SKT 사장 "한국 IT에 대한 리스펙트는 삼성·KT·LG 같이 이뤄낸 성과...상생적 경쟁 하겠다"
- LG윺플러스, U+ 멤버십 고객 대상 공연 초대 프로모션 실시...그룹 창립 70주년 기념
- 전국 SK텔레콤 대리점이 게임 속 ‘포켓스탑’ 으로...포켓몬고 데이터 무료
- SK텔레콤, IoT 청년 벤처 기업가 발굴...‘IoT 메이커톤(Make-A-thon)’ 개최
- [기획-AI기술의 확장]다양한 분야를 망라하는 알렉사 스킬스(Alexa Skill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