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비전e 이진구 기자] KT는 항공우주연구원의 한국형 SABS(초정밀 GPS 보정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KASS국내개발 지상설비 장비제작 및 구축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KT컨소시엄이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
초정밀 GPS 보정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는 국토교통부에서 항공기의 안전한 이착륙과 최단경로 설정을 위해 추진하는 항공안전사업으로, ‘14년부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 및 구축을 총괄하고 있다.
초정밀 GPS 보정시스템이 개발되면 현재 30m 수준인 GPS 오차를 1-2m 수준으로 줄여 더 정밀한 위치정보를 제공해 이착륙시 항공안전성이 높아질 뿐 아니라 연료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재난안전, 교통, 국방,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해 미래 유망기술로 손꼽히고 있다.
KT 컨소시엄(KT, KT SAT)은 이번 ‘KASS 국내개발 지상설비 장비제작 및 구축사업’을 수주하기 위해 그룹의 역량을 집중해왔다. 특히 KT의 5G 등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술, 재난안전 사업역량과 KT SAT가 보유한 무궁화 위성 제작•운영, 서비스 제공 등의 핵심역량을 접목해 최적의 사업자로 인정받았다.
KT컨소시엄은 ‘22년 10월까지 위성임차 및 운용, 기준국/중앙처리국/위성통신국/통합운영국 등 지상설비 구축, 통신네트워크 장비 제작•구축 및 장비 연동시험 인증지원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중 마지막 2년간은 시범사업을 통해 다양한 정밀 위치기반 서비스의 검증 및 테스트를 진행한다.
항공우주연구원은 향후 초정밀 GPS 시스템을 기업 등 민간에 단계적으로 개방해 재난안전 및 네비게이션, 드론, 자동차 등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따라서 KT는 KASS 사업에서 습득한 기술력과 노하우를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등 위치기반 사업에 접목할 예정이다. 특히 시범사업 기간 동안 재난상황 대민 알람, 개인안전•노약자 안전관리 서비스 등 위치기반 재난안전분야 시장 선점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KT 미래융합사업추진실 박정호 통합보안마케팅담당 상무는 “KT는 초정밀 GPS 기술 및 인프라를 활용해 안전, 교통,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 차별화 된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제공할 것”이라며 “특히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재난안전분야에 특화된 서비스 제공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KT, 협력사와 MWC 2017 동반참가...‘ICT 한류’기업 동반성장 생태계 구축
- KT, MWC 2017서 로밍 데이터 활용한 감염병 확산 방지 솔루션 ‘스마트 게이트’ 전시
- KT "5G 표준화 전담그룹 'IMT2020 워킹파티'의장에 김형수 박사 선임돼"
- KT경제경영연구소, ‘미리보는 MWC 2017’ 보고서..."5G 기술과 융합서비스 진화 두드러질 것"
- SK㈜ C&C, 지식공유 세미나 오픈랩 23일 개최...장문석 전무, 클라우드 시장·기술동향 등 강연
- KT, 국내최초 IT/네트워크 통합 사이버보안센터 구축
- LG유플러스, 4개 가전 동시 제어 ‘IoT멀티탭’ 출시..."전기요금 절감 기대"
- KT, MWC 2017에서 ‘미리 보는 세계 최초 KT 5G 서비스’ 선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