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비전e 이건규 기자] 지난 해 전국의 땅값은 상승했지만 거래량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작년 전국 지가는 연간 2.70% 상승해 10년 11월 이후 74개월 연속 소폭의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15년 지가변동률 2.40%에 비해 소폭 증가한 가운데 소비자물가변동률(1.0%)보다 높은 수준이다.
전국 17개 시·도의 땅값이 모두 상승한 가운데, 수도권(2.53%)보다 지방(2.99%)의 상승률이 더 높았다.
지역별로는 서울(2.97%)은 2013년 9월부터 40개월 연속 소폭 상승중이며, 인천(1.74%), 경기(2.23%) 지역은 전국 평균을 하회했다.
제주는 8.33% 상승해 전국 최고 상승률을 보였으며, 세종(4.78%), 부산(4.17%), 대구(3.93%), 대전(3.45%), 강원(2.92%), 광주(2.82%)가 뒤를 이었다.
시군구별로는 서귀포시(8.79%)가 제2공항 건설계획 발표 이후 인근지역에 대한 높은 투자수요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경남 거제시(-0.48%)와 울산 동구(-0.41%)는 조선업 경기 불황에 따른 부동산 수요 감소로 지가가 하락했다.
작년 연간 전체토지(건축물 부속토지 및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299.5만 필지(2,176.0㎢)로 최고치를 기록했던 15년 대비 3.0% 감소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111.2만 필지(2,006.6㎢)로 15년 대비 1.1% 감소했다.
지역별로 연간 전체토지 거래량은 강원(17.8%), 경기(7.3%), 충북(4.0%) 등은 증가한 반면, 세종(△28.0%), 대구(△22.5%) 등은 주택거래량 감소의 영향으로 전체토지 거래량이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27.8%), 경기(12.6%), 서울(4.6%) 순으로 증가한 반면, 대전(△21.8%), 부산(△17.1%) 등은 감소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지난해 전국 지가변동률은 저금리 기조에 따른 투자수요로 15년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판단되며, 개발 수요가 많았던 제주·세종·부산 등 지방을 중심으로 높은 상승세를 보인 반면, 전체 토지거래량은 지방을 중심으로 한 주택거래량 감소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나, 이전 5년 평균 대비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