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비전e 장연우 기자] 중국 최대 e커머스 업체인 Alibaba가 11월 11일 광군제날 중국 내 13개 매장에 AI 패션 어시스턴트 시스템인 ‘FashionAI’를 선보였다. FashionAI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기존 스마트 거울 기반 가상 피팅룸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쇼핑몰을 연결해 옴니채널을 완성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향후 Alibaba의 AI 비서인 AlieGenie를 통합할 경우 활용도가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FashionAI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매장 방문객이 고른 제품과 어울리는 제품을 소개해 주고 고객이 원할 경우 원하는 제품을 바로 확인해 보거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시스템 작동 방법은 의류에 칩을 부착해 고객이 피팅룸에 특정 제품을 가져오면 FashionAI 지원 디스 플레이가 해당 제품을 바로 인식해 어울리는 제품을 추천해 주고 고객이 원할 경우 해당 아이템을 선택한 후 우측 하단의 호출 버튼을 눌러 매장 내 점원에게 제품을 가져오도록 요청하거나 온라인을 통해 구매도 할 수 있다. 특히 FashionAI의 신경망은 이용 할수록 이용자의 기호를 학습해 나중에는 좀 더 이용자의 기호에 맞는 맞춤형 제품을 추천해줄 수도 있다는 것이 바이두측의 설명이다.
FashionAI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미국 Oak Labs가 선보인 스마트 거울을 활용한 가상 피팅룸 시스템 과 큰 차이는 없으나, 빅데이터를 활용해 특정 제품과 어울리는 제품을 추천, 추가 제품 구매를 유도해 매출을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특히 2~3년 전에 다수 공개되었던 스마트 거울을 활용한 가상 피팅룸의 경우 매장 내 쇼핑 경험 향상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으나, FashionAI 시스템은 오프라인 매장에 온라인 쇼핑몰을 추가한 것으로 매장 내 쇼핑 경험을 온라인으로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현재 FashionAI 시스템은 Alibaba의 AI 비서인 AliGenie를 통합하지는 않은 상태로 향후 AlieGenie를 통합해 음성으로 원하는 제품을 가져오라고 요청을 하고 피팅룸 조명 및 음악 조절이나 결제까지 지원한다면 쇼핑 경험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최근 Amazon이 Calvin Klein과 파트너쉽을 체결하고 연말 연휴 기간까지 파트너쉽 팝업 스토어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해당 매장 내 피팅룸에 Amazon Echo를 배치해 제품 관련 질문을 하거나 조명을 조절하고 원하는 음악 재생을 요청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알려졌는데, Alibaba도 FashionAI 시스템에 AlieGenie를 통합하거나 자사 AI 스피커인 Tmall Genie를 FashionAI 시스템과 함께 배치해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인다.
FashionAI 시스템은 오프라인 매장에 온라인 쇼핑몰을 추가해 옴니채널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Alibaba 입장에서는 고객들의 오프라인 매장 쇼핑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는 점이 더 의미를 두고 있다.
따라서, FashionAI 시스템은 딥 러닝을 통해 이용자의 기호를 학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기적으로 온∙오 프라인을 모두 아우르는 개인 맞춤형 패션 스타일 어시스턴트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Amazon의 경우 2017년 4월 선보인 Alexa 지원 핸즈 프리 카메라인 Echo Look을 선보이면서 이용 자들이 촬영한 의상 사진에 기초해 인공지능과 전문 스타일리스트들이 제품을 추천해 주는 Style Check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는데, Alibaba도 Fashion AI 시스템을 통해 동일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Alibaba가 FashionAI 시스템 지원 매장을 확대해 나갈지는 알 수 없으나, 식료품을 판매하는 일반 유통 매장에 이어 의류 제품을 판매하는 패션 매장의 스마트화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그 중심에는 AI 비서와 컴퓨터 비전 기술과 같은 인공지능이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된다.
향후 온∙오프라인 매장에 상관없이 AI 비서가 소비자들이 좀 더 빠르고 편리하게 쇼핑을 할 수 있도록 이용자 기호에 맞춰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은 크게 줄여주되 최선의 선택이 가능한 큐레이션을 제공하는 점원이나 스타일리스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장연우 기자
newsvision-e@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