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비전e 김호성 기자] 2017년 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7 에서 완전 자율주행 시대를 앞당기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 제품들을 선보였다. 손정의 SoftBank 회장은 "자율주행차 사업은 가장 매력적인 시장"이라고 하고, 일론 머스크 Tesla CEO 는 "자율주행차가 예상보다 휠씬 빠른 속도로 다가오고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 자율주행차 시장의 시장조사기관들의 전망
자율주행차 도입과 관련하여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 추가 비용 부담 가중, 해킹 등 보안 리스크에 대한 우려, 사고 시 법적 책임의 모호성, 윤리적 딜레마 이슈 등의 난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조사기관들은 자율주행차 시대가 머지 않았음을 예상하고 있다.
McKinsey에 따르면 완전 자율주행차가 2020년 전후로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기 시작, 2030 년에는 신차 판매량의 15%, 2040년에는 90%에 각각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BCG(Boston Consulting Group)는 2035 년 신차 판매량의 25%가 자율주행차로 바뀔 것으로 전망하고 또한 IHS는 완전 자율주행차의 전세계 판매량이 2025년 23만대, 2035년 1,180만대에 이를 것으로 관측했다.
ABI는 부분 자율주행차를 포함한 자율주행차의 판매량이 2025년 110만대, 2035년 4,200만대로 예상하기도 했다.
▲ 글로벌 기업들의 자율주행차 시장 대응 현황
미국 자동차업체의 대표주자인 Ford는 2020년까지 첫 번째 자율주행차를 생산할 계획인 것으로 밝혔고, GM 은 2018년까지 자율주행 전기차 쉐보레 볼트를 1,000대 생산, 시험에 들어갈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Renault-Nissan 은 2020년 시내 자율주행가능 차량을 선보일 예정이고, Daimler 는 2020년까 지 시속 120km 로 주행 가능한 완전 자율주행차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는 등 글로벌 자동차 업체의 자율주행차 생산이 가시화되고 있는 등 자율주행차 시대가 곧 도래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자율주행 기술수준에서 선두주자로 달리고 있는 Waymo는 최근 라이다 등 자율주행시스템에 필요 한 하드웨어를 자체 개발하여 비용을 크게 낮췄다고 발표한 것으로 알려졌고, 애리조나 주에서 거주자가 참여하는 자율주행 미니밴 시범서비스를 시작했으며, Uber 는 이미 2016 년 9월 피츠버그에 서 자율주행차량 시범서비스에 착수하는 등 기술적 수준이 크게 진전된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 [기획] IoT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분야 "Connected Car"
- [IoT 스마트홈] 스마트허브의 역할 하는 '스마트 스피커(Smart Speaker)'
- [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 센서기술력 중요성 부각...각국 정부 정책 긴요하게 대응
- [미래 지능사회의 축소판] '스마트 시티' 구축..국가 전체적인 장기 전략이 절실
- 네이버, AI 기술 기반 브라우저 '웨일' 2차 CBT 진행
- 네이버 파파고(papago), 모바일 웹페이지 번역을 돕는 ‘미니(mini)’ 기능 추가
- SKT “개방·협력 성공방식으로 같이 1등 하자”...3년간 11조원 '값진 투자' 발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