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비전e 김호성 기자] 올해 국내 조선업계의 수주액이 지난해보다 4분의1 이상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런 조선업황의 부진은 내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예측됐다.
    

10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내놓은 '2015년 3분기 조선해운시황 및 전망'을 보면 국내 조선산업의 올 1~3분기 누적수주액은 190억5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주량 기준으로는 1~3분기 누적치가 877만 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로 작년 동기보다 2.5% 줄었다.
    

연구소가 국제 조선ㆍ해운 시황 분석기관인 클락슨 리서치의 자료를 토대로 국내 조선산업의 선종별 수주실적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컨테이너선(79% 증가)과 유조선(64% 증가)을 제외한 대부분 선종이 감소 추세를 보였다.
    

해양플랜트 수주는 1척에 그쳤고 벌크선 수주는 아예 없다.
    

제품운반선은 32% 감소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소는 올해 수주액이 지난해의 327억1천만 달러보다 약 27% 감소한 240억 달러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수주량 역시 지난해(1천260만 CGT)보다 13% 줄어 1천90만 CGT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수주가 부진한 탓에 수주 잔량도 지난해 말의 3천420만 CGT에서 9%가량 감소해 3천140만 CGT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다만 2013년 수주량이 많았던 영향으로 건조량은 지난해 1천210만 CGT에서 올해 1천280만 CGT로 약 6% 증가하고, 수출액도 지난해 398억9천만 달러에서 411억 달러로 3%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산업은행, 한국무역보험공사 등 정책금융기관들은 건설, 조선업에 대한 부실여신 확대를 미리 차단하기 위해 이들 산업군을 대상으로 한 수익성 심사를 한층 강화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