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어떤 나라이든 경제가 좋아지면 국가 지도자의 지지율도 자연스럽게 상승한다.

이런 각도에서 트럼프 發 관세(부과)전쟁도 자국을 부강하게 만들겠다는 전략의 일환이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다양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경제현실은 그리 녹록치 않다는 분석이다.

국내 의견도 충돌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 연준, 12월 금리 인하 놓고 '사상 최악' 내분으로 "파월 자른다"고  트럼프 대통령 위협이  더해져가고 있다.매파 "물가 잡아야" vs 비둘기파 "고용이 먼저"다라는  논리가 격렬하게 충돌하고 있다.

3%대 물가·고용 둔화 겹친 '스태그플레이션 라이트' 공포도 지속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주택 대출 금리가 요동칠 전망이다. 이에 월가는 12월 금리인하 확률이 95%서 50%로 뚝 하락 의견이 우세하면서 정책 불확실성에 시장 변동성 확대로 미국 경제가 부정적인 예측이 더욱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반영하듯 미국 증시의 기술주 급락과 AI 버블 공포가 암호화폐시장까지 급격히 하락추세로 돌아서면서 직격탄을 날린 셈이다.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도 취임 이후 최저치로 하락했다.

로이터통신이 입소스에 의뢰해 지난 14~17일 미국 성인 1017명에게 설문조사 결과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38%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1월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이후 최저치다.

이에 역대 최장을 기록한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이 이어지던 지난달에는 70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미국 전역에서 ‘노킹스'(No Kings·왕은 필요없다) 시위에 참여했는데 전국적으로 빠르게 확산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도 지지율 하락을 인식하고 직접 진화에 나서는 동시에  장미빛 미래를 언급하면서 불편했던 주변관계를  아우르는 동시에 외교·안보 분야에서도 성과를 강조하는 등  전반적인 국정 운영 평가 흐름을 반전시키려는 의도가 짙게 드러난다.

트럼프 행정부는 사우디와의 경제 협력 확대, AI·테크 산업 중시 정책 기조와 함께  주요연말까지 물가 안정 대책·세제 개편·에너지 정책 조정을 포함한 후속 조치를 단계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하지만 여론 흐름이 어떻게 변할지, 이러한 후속조치가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이 지지율 반등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