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CNN은 10월 14일 보도를 통해, 한때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여권으로 꼽히던 미국 여권이 20년 만에 처음으로 상위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고 전했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런던의 글로벌 컨설팅사 하인즈앤파트너스(Henley & Partners)가 발표한 ‘하인즈 여권 지수(Henley Passport Index)’에 따르면, 미국은 올해 4분기 순위에서 말레이시아와 함께 12위를 기록했다. 미국 시민이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는 국가는 180개국으로, 이는 2014년 1위에 올랐던 당시보다 크게 줄어든 수치다.
이번 순위에서 싱가포르 여권이 193개국 무비자 입국으로 1위, 대한민국이 190개국으로 2위, 일본이 189개국으로 3위를 차지하며 아시아 국가들이 나란히 상위권을 휩쓸었다.
하인즈 컨설팅 측은 “미국 여권의 순위 하락은 단순한 통계 변화가 아니라 세계 유동성과 소프트 파워의 균형이 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올해 4월 브라질이 상호주의 부족을 이유로 미국, 캐나다, 호주 국민에 대한 무비자 입국을 철회했고, 파푸아뉴기니와 미얀마, 베트남, 소말리아 등도 입국 정책을 조정해 미국 여권의 효력을 약화시켰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과거의 특권에 안주하는 사이, 아시아 국가들은 적극적인 외교 정책과 개방적인 협정 확대를 통해 여권의 신뢰도를 높여왔다”고 지적했다.
하인즈앤파트너스의 크리스티안 케일린 회장은 “개방과 협력을 중시하는 국가는 세계 이동성에서 빠르게 앞서가고 있다”며 “여권의 힘은 이제 한 나라의 신뢰와 외교 역량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순위 발표로 미국은 올해 7월까지만 해도 유지하던 상위 10위권 자리에서 밀려나게 됐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은 미국의 비자 정책 경직, 상호주의 약화, 그리고 아시아·유럽의 외교 다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최규현 기자 kh.choi@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