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전역에서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세가 전반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일부 가계의 임금 상승이 물가를 따라가지 못해 소비가 약화되고 있다.
9월 3일 발표된 ‘베이지북(Beige Book)’에 따르면 7월 중순부터 8월 말까지 12개 연방준비은행 모두에서 가격이 상승했다. 이 중 10곳은 “완화되거나 완화된 인플레이션”을, 2곳은 “강한 투입 비용 상승”을 보고했다. 특히 보험, 공공사업, 기술 관련 산업에서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보고서는 또한 많은 기업들이 관세로 인해 원자재와 중간재 비용 부담이 커졌으며, 일부는 이를 소비자 가격에 전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임금 상승률이 물가 상승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가계 소비는 정체되거나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 시장 측면에서 11개 연준 관할 구역은 전반적으로 “변화가 없거나 미미하다”고 평가했지만, 7개 지역에서는 기업들이 채용을 보류했고, 2개 지역에서는 해고 사례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날 발표된 미국 노동통계국(BLS) 자료에 따르면 7월 기준 구인 건수는 718만 개로, 시장 예상치보다 20만 개 적었으며 10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경기 둔화 조짐 속에서 일부 연준 인사들은 금리 인하 필요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했다.
연준 이사 크리스토퍼 월러는 CNBC 인터뷰에서 “고용 시장이 본격적으로 하락하기 전에 선제적으로 조치해야 한다”며 9월 중순 열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 인하를 재차 주장했다. 그는 지난 7월 회의에서도 인하에 찬성했으나, 당시 위원회는 9대 2로 금리를 동결한 바 있다.
애틀랜타 연준 총재 라파엘 보스틱 역시 “고용 둔화를 감안하면 올해 중 0.25%포인트 인하 여지가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구체적 시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미니애폴리스 연준 총재 닐 카시카리도 “중립금리가 약 3% 수준임을 고려할 때, 현재 4.25~4.5% 범위의 연방기금 금리는 장기적으로 점진적 하락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그는 무역 정책 불확실성을 이유로 구체적인 인하 시점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