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는 책임이다. 국민 앞에 선 공직자는 국민의 눈높이에서 스스로를 돌아봐야 한다. 지금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해야 할 일은 단 하나다.
스스로 물러나는 것. 더 이상 시간을 끌 이유도, 여지를 남길 필요도 없다.
강 후보자의 ‘보좌진 갑질’ 의혹은 이미 선을 넘었다. 자택의 변기 수리, 쓰레기 처리, 쇼핑 심부름. 이는 단순한 편의 제공이 아니다.
공적 인력을 사적으로 부린 것은 명백한 권력의 사유화다. 이것이 과연 장관 후보자로서 갖춰야 할 태도인가?
공직은 특권이 아니다. 사적 편의를 위해 공적 권한을 휘두른다면, 그것은 직무 유기 이자 도덕적 파산이다. 국민의 분노는 정당하다. 진보도 보수도 모두 한 목소리다.
강후보는 여가부 장관이라는 자리가 ‘여성과 사회적 약자을 대표하는 자리’라고 면서도, 정작 자신의 보좌관들에게 시켜먹은 심부름의 목록을 떠올려 보라. 그야말로 ‘가짜 페미니즘의 민낯’ 그 자체가 아닌가?
그럼에도 대통령실은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이라는 형식으로 시간을 끌고 있다. 하지만 국민은 이미 답을 알고 있다.
대통령은 전 정부로부터 반면교사를 얻어야 한다. 이것은 통치권자 자존심의 문제가 아니다. 국민의 자존감 훼손이다. 집권 초기 지지율 고공행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왜 스스로 추락의 길을 자초하려 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강선우 임명 강행? 그건 불에 기름 붓기다. 여론을 무시하고 인사를 밀어붙이면 결국 그 뒷감당은 오롯이 정권의 몫이 된다.
지금은 국민이 공직사회 최소한의 윤리를 지켜달라고 요구하는 순간이다. 그것마저 무시한다면 이재명 정부의 인사 시스템은 이미 고장 난 것이나 다름없다.
여성가족부 장관 하나 지키겠다고 정권의 도덕적 명분을 날려버리는 일, 그 어리석음이 반복돼선 절대 안 된다.
오죽하면 정치 일선에서 물러 났지만 여전히 당내 영향력을 갖고 있는 권노갑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도 강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촉구하고 나섰겠는가?
강선우 후보자에게 다시 묻는다. 당신은 여전히 버틸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이제는 정치적 생존의 문제가 아니다. 인간의 양심과 책임의 문제다. 국민은 이미 결론을 내렸다.더 늦기전에 스스로 사퇴하라.
정권의 부담이 돌이킬 수 없는 나락으로 떨어지기 전에 말이다. <김창권 대기자>
